발간물
연구보고서
- AURI-기본-2008-9
- 2008.12.31
- 203페이지
- 조회수 2965
하지만 우리가 처한 현실은, 최적의 설계 대안을 찾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설계현상공모에 제출된 설계 작품들이 마땅한 공공기록물 관리 기준이 없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고, 도심재개발시 장소의 역사성을 살리고자 해도 개발 이전의 역사적인 공간의 모습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적절한 계획이나 설계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건축·도시 공간 만들기에 정부와 지자체, 시민단체가 참여하고 있지만 다양한 주체들의 정책과 사업에 대한 기록과 정보가 통합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건축기본법 시행령(2008.6.20 제정)제3조 건축정책기본계획의 내용에는 이러한 공간기록정보의 사회적 생산과 유통 체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건축물과 공간환경에 관한 기록자료의 구축에 관한 사항을 포함할 것을 명시하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정책 방향이나 실천 전략에 관한 국내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건축·도시공간 기록물에 대한 국가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방향 및 실천 전략 도출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건축·도시공간 아카이브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관련된 제도 및 정책 사례 분석을 통해 정책 방향을 제안하며 시범 기록 구축 연구 및 그 결과에 대한 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구성
II. 건축·도시공간 아카이브의 개념
1. 건축 아카이브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1) 건축 아카이브의 개념
2) 선행 연구 검토
2. 건축·도시공간 기록물의 특성
1) 건축·도시공간 기록물의 유형
2) 건축 공간 자체의 기록 방법
3) 건축도시 기록물의 관리 특성
3. 소결: 건축·도시공간 아카이브 개념의 제안
III. 관련 제도 및 정책동향 분석
1. 관련 제도 검토
1) 개관
2) 공공기록물 관리와 공공기관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3) 문화재 보존 관련 기록제도 및 기록현황
2. 국내의 건축도시 정보 구축 사업
1) 건축도시공간 관련 정보화 사업의 현황
2) 공간이력 기록 사업
3. 해외의 건축도시 기록정보 관리와 활용
1) 해외의 건축 기록물 관리와 활용
2) 건축·도시 기록물 전문 관리기관 사례
3) 해외의 관련 정보 시스템 구축 사례
4. 소결
IV. 건축·도시공간 아카이브의 대상과 기록화 전략 연구
1. 개관
2. 국내 도시계획 및 개발 사업 체계
1) 공간계획 및 사업의 체계
2) 공간계획 및 사업 현황
3. 시범 기록구축 조사 연구: 피맛길
1) 조사 개요
2) 공간 이력조사
3) 현장 탐문조사
4) 물리적 환경 기록화
5) 조사결과에 대한 디지털 서비스 구축
4. 소결
V. 국가 건축·도시공간 기록 관리 체계 구축 방안
1. 정책의 목표와 기본방향
1) 정책 추진 배경
2) 정책 목표
3) 기본 방향
2. 중점 추진 과제
1) 도시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한 건축·도시공간 기록구축 방안
2)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통한 기록정보 활용 체계 강화
3) 전문 기록 관리 기관 확보
3. 추진 전략
1) 추진 체계
2) 세부 추진 전략
VI. 결론
1. 연구의 의의 및 한계
2. 맺음말
· 참고문헌
· summary
· 부록 1. 종로 피맛길 관련 문헌 및 현장탐문 조사 결과
· 부록 2. 종로 피맛길 일대 3D 실측조사 결과
유광흠 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