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auri brief
소필지 밀집형 주거지 정비방식의 전환과 대안
- No.24
- 작성일 2010.03.08
- 조회수 1286
- 서수정 연구위원
요약
주거지 정비방식의 패러다임 전환
· 물리적 환경정비에 치우친 전면철거의 대규모 정비방식은 기존 거주자의 재정착 저하, 커뮤니티단위의 사회·경제적 네트워크 단절, 집값 상승에 의한 주택시장의 불안정 등 지속가능한 주거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 주거지의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형성을 위해서는 물리적 측면 뿐 아니라 지역주민의 생활 및경제적 향상을 위한 사회, 복지, 교육 등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주거지 정비를 수행하는 사회적 재생(social renewal)으로의
전환을 요구
· 사회적재생은 주민스스로 주거환경개선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Bottom up 방식을 통해 자생적 커뮤니티를 유지하는 것으로 물리적, 사회·경제적 측면을 결합한 정비방식을 말함
· 이러한 정비방식은 지역커뮤니티를 지속적으로 유지·보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성주거지의 특성인 소필지 밀집형 공간구조를 관리한다는 측면에서 장기적이고 점진적으로 지역변화를 유도하는 것임
소필지 밀집형 주거지의 개념과 대상
· [개별건축물-필지-가로-블럭-도시조직]의 위계적 가로구조와 소필지가 밀집한 공간구조를 갖춘 주거지를 의미함
· 국내 소필지 밀집형 주거지는 1980년대 초반까지 구획정리사업에 의해 조성된 단독주택지를 비롯하여 1980년대 초반에 택지개발사업으로 조성된 단독주택용지, 역사문화보존구역 지정 또는 접경지역에 입지하여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독주택지역이 해당됨
서수정 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