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AURI-기본-2011-4
- 2011.12.31
- 242페이지
- 조회수 9554
오랫동안 존재해온 도시의 공간조직은 문화자산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도시 형태이다. 단순히 물리적인 형상으로서의 가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서는 거주민들의 다양한 삶과, 로컬의 경제체제가 스며들어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로 이미지를 공유하여 공통된 기억이 존재하는 장소이다. 이러한 도시조직이 파괴된다는 것은 그 지역의 역사성 및 장소의 상실이자 사회경제적인 메커니즘이 붕괴되는 것을 의미하며 고향에 대한 기억이 상실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치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주택정비사업은 전면철거재개발로 진행되고 새로운 아파트 숲의 조직이식으로 인하여 기성시가지에서 볼 수 있었던 유기적인 연결체계와 다양한 선택권이 가능하던 주거환경의 다양성이 상실되었다. 또한 주변과의 기능적 형태적 소통을 거부하는 폐쇄적이고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대규모 단지중심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중층고밀의 다양한 중소규모 가구단위들로 구성된 주거지 정비방안의 실천수단으로서 정비계획의 기본방향 제시를 기본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변지역과의 연계성 구축을 위한 가로구성체계 및 도시경관적인 대응방식, 도시구조를 유지하면서 중소규모의 가구단위의 개발과 기반시설의 공공성을 확보 그리고 중층고밀로 구성되는 다양한 주거지 유형과 근린생활가로의 구현을 위한 실천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의 세부적인 목적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성시가지와 정비현황의 도시공간조직을 비교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지는 재정비 촉진지구 혹은 재개발 구역으로서 대규모 단지개발방식으로 진행되는 지역이다. 또한 다세대, 다가구 주택이 밀집하고 기존필지구조가 비교적 잘 보전된 지역으로서 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이다. 정비모델제시를 위해 선정된 신정재정비촉진지구는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하여 60년대 이후부터 80년대에 이르기까지 조성된 비교적 다양한 유형의 가구구조가 존재하고 4m이하의 도로와 과소필지가 밀집된 지역이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모델제시로 선택된 대상지는 본 연구에서 의도로 하는 중요 도시구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고밀도에 대응하는 도시공간조직의 개편을 통하여 다양한 주거지의 공간유형을 재구성하기에 적합한 곳이다.
도시공간조직의 분석방법론인 가로구성체계, 가구(필지)구성체계, 건축물의 구성체계 그리고 이러한 구성체계들과 건축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구체적인 실천대안을 모색하였다. 주거지 정비방안의 제시에서는 부분존치가 이루어지는 주택건설사업에서의 소단위 합필개발과 철거신축이 진행되는 재개발 사업에서의 가구단위 공동개발 가능성을 모색하였으며 기반시설공급의 경우 공공주도의 도시계획시설사업을 제안하였다. 기존연구와는 차별되는 점은 무엇보다도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규명을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정비사례의 실증적인 비교분석과 현황진단을 통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재정비촉진지구를 대상으로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정비모델과 원칙을 제시하였으며 이의 실현을 위한 제도적 개선점을 고찰하였다.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1) 공간적 범위
2) 내용적 범위
3. 선행연구결과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 선행연구 현황
2) 본 연구의 차별성
4. 연구의 주요내용 및 방법
1) 연구의 주요내용
2) 연구의 방법
제2장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의 개념
1. 도시공간조직과 유리되어 발생하는 주거지 정비의 문제점
1) 도시맥락과의 단절
2) 지역의 사회경제적 구조 붕괴
2. 도시공간조직의 개념정의 및 대응의미
1) 도시조직의 개념정의
2) 도시공간조직에의 대응의미 도출
3. 도시공간조직을 이해하기 위한 분석방법론
1) 유형 형태학적 관점에서의 도시형태론
2) 도시맥락적 도시형태론
3) 도시의 공간구조를 고려한 접근방법론
4) 소결: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기 위한 분석방법론
4. 도시공간조직의 대응가치에 상응하는 계획요건
1) 도시의 유기적 연결성 확보
2) 도시경관과의 조화
3) 도시구조의 지속가능성
4) 장소가치의 보존
5) 주거지 유형의 다양성 구축
6) 근린생활가로의 활용성 확보
5.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것에 대한 기본 방법론
제3장 국내 주거지 정비사업의 추진현황 및 법제도
1. 주거지 정비사업의 배경 및 추진현황
1) 주거지 정비사업의 배경
2) 주거지 정비사업 유형별 추진현황
2. 주거지 정비사업 관련 법제도
1) 주거지 정비사업 관련 법제도의 변천
2) 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특별법의 시행
3) 관련 세부 법제도
3. 주거지 정비사업의 개발방식
1) 주거지 정비사업의 추진절차
2) 주거지 정비사업의 시행내용
3) 현행 주거지 정비방식
제4장 기성주거지 도시공간조직의 특성과 사례분석을 통한 주거지 정비사업의 문제점 진단
1. 국내 기성주거지 도시공간조직의 일반적 특성
1) 기성주거지 도시공간조직의 유형
2) 기성주거지 도시공간조직의 일반적 특성
2. 도시공간조직을 통한 기성주거지 정비사례의 비교분석
1) 분석내용 및 방법
2) 대상지 선정 및 일반개요
3) 기성주거지 공간현황 및 정비계획안 비교분석
4) 분석종합
3. 기성주거지 정비계획안 진단 및 문제점
1) 정비계획안 진단
2) 주거지 정비사업의 문제점과 원인
제5장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모델
1. 주거지 정비모델 제시를 위한 기본 방향
1) 주거지 정비의 사업방식
2) 가로구성체계 및 가로와 건축물의 관계
3) 가구와 필지의 구성체계 및 가구(필지)와 건축물의 관계
4) 건축물의 구성체계
2. 정비모델제시를 위한 대상지의 일반 개요
1) 정비모델제시의 목적
2) 대상지 선정기준
3) 대상지의 물리적 현황
3.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모델 제시
1) 주거지 정비의 사업방식
2) 가로구성체계 및 가로와 건축물의 관계
3) 가구 및 필지의 구성체계와 건축물의 관계
4) 건축물의 구성체계
4.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를 위한 현행제도 검토
1) 제도의 개선방향
2) 제도의 개선방안
제6장 결론
1. 연구의 요약 및 제도개선 방향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추진과제
참고문헌
오주형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