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 기본연구보고서 2020-13
- 2020.12.31
- 367페이지
- 조회수 6555
본 연구는 노후주거지 거주자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고령자의 삶의 질 개선이 우선되지 않으면 지속가능한 주거지재생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동안 주거지재생에서 도시쇠퇴의 원인으로 지적해 왔던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는 청년층 인구유입, 고령자 일자리 창출, 어울림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주민공동 지원시설 조성 등의 사업으로 구체화되었다. 이에 국비지원 대상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분석한 결과, 고령자를 위한 단위사업 비중은 비교적 높으나 대부분 복지시설, 주민공동이용시설, 임대주택 조성 등 하드웨어 시설을 확충하는데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고령자의 삶의 질 개선 측면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지역사회 지속 거주(Ageing in Place)’ 개념에 기반한 돌봄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이나 돌봄 관련 프로그램 사업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보건복지부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가 협약을 체결하여 커뮤니티케어형 도시재생 특화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각 주체별 협업체계나 사업추진구조, 재생계획수립 절차가 화학적으로 통합, 연계되지 못하고 있어 실질적인 연계나 시너지 효과를 위한 구체적인 사업추진 방안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는 주거지재생사업에서 지역사회 통합 돌봄 정책을 실질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지역사회 지속 거주’개념을 주거지재생에 정착시킬 수 있는 실행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5
2. 연구범위 및 방법 7
1) 연구대상 및 범위 7
2) 연구방법 14
3. 선행연구검토 및 연구추진절차 17
1) 선행연구검토 및 차별성 17
2) 연구추진절차 20
제2장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개념 및 관련 정책
1. 주거지재생에서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 의미 21
1) 재가복지서비스 기반의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정착을 위한 물리적 토대 마련 21
2) ‘지역사회 지속거주’ 가치 실현을 위한 고령자의 ‘자기결정적 생활’지원 24
3) 주거재생에서 거주자 욕구 맞춤형 사회서비스 정착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연계 25
4) 커뮤니티 기반의 동네단위 상호 돌봄과 독립생활이 가능한 자립형 주거지 조성 27
2.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의 개념 29
3.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관련 정책 및 제도 31
1) 고령사회 대응 관련 제도 및 정책 동향 31
2) 국가기본계획 및 기본방침에 반영된 지역사회 통합 돌봄 관련 정책 35
3)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관련 정책 40
4) 정책 및 제도 시사점 45
제3장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관련 기준 및 사례
1. 지역사회 통합 돌봄 주거지재생 관련 기준 및 가이드 라인 운영 사례 47
1) 일본의 건강·의료·복지 마을만들기 계획 및 사례 47
2) 독일의 고령친화 주거지 조성 계획기준 및 사례 74
3) 영국의 평생주택 및 평생동네 기준 90
2.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선도사업 추진사례 98
1) 지역사회 통합 돌봄 선도사업 98
2) 커뮤니티케어 도시재생 뉴딜사업 108
3. 고령자 돌봄서비스 연계형 주택 공급 사례 114
1) 고령자 주택 및 시설 관련 제도와 사업 114
2) 고령자 맞춤형 주택 조성 사례 124
3) 고령사회 대응형 마을 조성 사례 133
4. 사례종합 및 시사점 138
제4장 주거재생에서 지역사회 통합 돌봄 서비스 관련 사업추진 현황
1. 현황분석 개요 143
1) 분석 목적 및 대상 143
2) 분석 절차 및 방법 145
2. 도시재생활성화계획에 반영된 지역사회 통합 돌봄 관련 사업 추진현황 146
1) 주요 분석내용 146
2)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목표 및 비전 분석 147
3)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사업내용 분석 149
4) 분석종합 164
3. 주거지재생 사업에서 지역사회 통합 돌봄 사업추진현황 심층분석 166
1) 분석 대상지 선정 166
2) 분석기준 도출 169
3) 심층분석 내용 174
4. 현황분석 종합 222
제5장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대안 검토
1. 주거지재생 대안검토 및 실증분석 개요 227
1) 대안검토 개요 227
2) 대안검토 방법 및 협업구조 230
2. 대상지의 물리적 현황 및 자원분석 232
1) 인구현황 232
2) 저층주거지 건축물 및 토지 현황 233
3) 고령인구 지원시설 등 생활SOC 및 공동체 프로그램 현황 236
4) 도로 및 지형 특성 245
3. 지역사회 통합 돌봄 욕구조사 및 GPS 조사결과 247
1) 고령자 대상 지역사회 통합 돌봄 욕구조사 247
2) GPS를 통한 고령자 행동반경 조사 264
4.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대안 267
1) 거점 조성 및 보행환경 개선을 통한 주거지재생 267
2) 통합 돌봄 서비스 전달체계 268
3) 통합 돌봄 거점 조성과 보행환경 개선을 통한 주거지재생 271
4) 대안검토 결과 시사점 및 과제 274
제6장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추진 및 정책지원 방안
1.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목표 및 원칙 277
2.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방향 및 사업추진 전략 279
1) 고령자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사회 돌봄 서비스 자원 활용과 연계 281
2) 고령자의 지역사회 지속거주 지원을 위한 물리적 환경 기반 마련 284
3) 동네단위의 상호 돌봄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 기반의 사회경제적 관계망 형성 293
4) 지역사회 통합 돌봄과 주거지재생을 연계하기 위한 지역관리 기능 확보 298
3.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계획수립 및 거버넌스 체계 299
1)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공간범위와 계획수립 대상 299
2)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계획의 주요 내용 및 절차 300
3)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305
4. 정책지원 및 제도 개선 방안 307
1)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도시재생예비사업 추진 307
2) 지역사회자원 및 재원 연계를 위한 정책지원 방안 311
3) 고령자 주거인프라 조성을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 316
제7장 결론
1. 연구성과 321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추진과제 323
참고문헌 325
SUMMARY 335
서수정 선임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 주거취약지수 적용을 통한 도시지역 새뜰마을사업 국비지원 개선 방안 auri brief 2020.03.30 조회수 393
- 중·소도시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 방안 연구보고서 2019.12.31 조회수 801
- 도시지역 새뜰마을사업 국비지원체계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9.09.20 조회수 327
- 소규모 건축시장 현황 진단 및 정책 과제 auri brief 2019.06.15 조회수 256
- 제1차 건축서비스산업 진흥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추진 방안 auri brief 2019.02.15 조회수 300
- 건축서비스산업의 재발견 연구보고서 2018.12.31 조회수 449
- 소규모 건축시장 활성화를 위한 현황 진단 및 정책추진 방향 연구보고서 2018.12.31 조회수 505
-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을 위한 민관협력방식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8.10.31 조회수 403
- 건축설계산업 동향 및 실태 auri brief 2018.05.15 조회수 253
- 건축기획 업무범위 및 대가기준 개선 방안 연구보고서 2017.12.31 조회수 359
- 알기 쉬운 건축설계 저작권 연구보고서 2017.12.31 조회수 292
- 건축서비스산업의 동향 및 실태 연구보고서 2017.12.31 조회수 468
-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근린단위 기금지원 프로그램 운영모델 제안 auri brief 2017.06.30 조회수 199
- 뉴스테이 주거서비스 인증제도 도입 및 운영 방안 auri brief 2017.03.30 조회수 240
-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근린재생형 기금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서 2016.12.31 조회수 314
- 기업형임대주택 주거서비스 활성화 방안 - 주거서비스 예비인증을 위한 평가기준 마련 및 운영방안 - 연구보고서 2016.08.29 조회수 215
- 도시재생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auri brief 2016.07.15 조회수 435
- 도시재생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연구보고서 2015.08.31 조회수 430
- 다양한 주거 수요를 고려한 행정중심복합도시 단독주택지 조성 방안 auri brief 2015.08.15 조회수 410
-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정책 제안 auri brief 2015.06.15 조회수 323
- 근린재생 선도사업 추진 현황과 정책 방향 auri brief 2015.04.30 조회수 377
-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2) 연구보고서 2014.12.31 조회수 447
- 주거다양성을 위한 단독주택지의 계획적 조성 정책 연구 연구보고서 2014.12.31 조회수 501
- 도시재생지원기구 운영사례 및 중장기 운영방안 연구보고서 2014.12.31 조회수 400
- 국유지 개발을 위한 제도 개선 및 정책 방안 auri brief 2014.11.15 조회수 331
- 주민주도형 안심마을 조성 시범사업 모니터링 및 운영지침 마련 연구 연구보고서 2014.10.30 조회수 205
-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사례 연구 연구보고서 2013.12.23 조회수 454
- 한옥 보전 및 육성을 위한 한옥 전수조사 1. 대구광역시 중구 한옥정책브리프 2013.11.21 조회수 232
- 소규모 주거지 정비, 가로주택정비사업으로 auri brief 2013.04.15 조회수 163
- 전국 한옥분포 현황조사 - 대구 및 나주편 연구보고서 2012.12.31 조회수 265
- 국가 공공건축 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2) 연구보고서 2012.12.31 조회수 378
- 국가 공공건축 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 auri brief 2012.09.24 조회수 88
- 가로주택 정비사업 적용을 위한 제도방안 연구보고서 2012.08.31 조회수 226
- 필지단위 주택정비 활성화 방안 연구 auri brief 2012.08.31 조회수 114
-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 auri brief 2012.03.26 조회수 103
-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1.12.31 조회수 206
-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1.12.31 조회수 245
- 건축법에 의한 특별건축구역의 효율적 운영방안 auri brief 2011.11.21 조회수 86
- 필지단위 주택정비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1.10.31 조회수 216
- 단독주택지 재생을 위한 주택 관리 및 정비 지원방안 auri brief 2011.06.27 조회수 82
- 단독주택지 재생을 위한 주택 관리 및 정비 지원방안 연구보고서 2010.12.31 조회수 211
- 특별건축구역의 효율적 운영방안연구 연구보고서 2010.07.30 조회수 161
- 소필지 밀집형 주거지 정비방식의 전환과 대안 auri brief 2010.03.08 조회수 95
-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연구보고서 2009.12.31 조회수 182
- 신도시 공간환경디자인 개선 및 운영방안 auri brief 2009.08.31 조회수 88
- 최고가치의 건축·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협력형 설계관리체계 도입방안 auri brief 2009.07.06 조회수 85
- 장소의 가치향상을 위한 공공건축 통합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08.12.31 조회수 208
- 공공공간을 매개로 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2008.12.31 조회수 217
- [2008-기본-3-별책1] 영주시 공공건축 통합 계획 연구보고서 2008.12.31 조회수 110
- [2008-기본-3-별책2] 제천시 공공건축 통합 계획 연구보고서 2008.12.31 조회수 89
- 공공건축의 가치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및 추진방안 연구보고서 2007.12.31 조회수 230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