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보행환경 다면평가 시스템 구축 연구
오성훈 부연구위원 성은영
  • AURI-기본-2009-9
  • 2009.12.31
  • 421페이지
  • 조회수 2631
요약 이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보행환경에 대한 평가의 합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보행환경의 평가에 대한 합리성은 곧, 보행환경의 설계, 시공, 관리 등의 제반과정의 합리성과 연결된다. 여기서 합리성이라는 의미는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효율성과 효과성이라는 정책적 기준에서 객관적인 근거에 기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러한 근거를 어떤 방식으로 마련할 것인가가 이 보고서에서 의도하는 일차적인 연구의 방향이 된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의 흐름 
  2. 연구의 추진방법 
    1) 주요 연구내용 
    2) 연구의 전제 
    3) 보행행태조사를 위한 기술적 검토 
    4) 대상지 현장조사 및 결과의 종합 

 

제2장 선행연구 검토 
  1. 개요 
  2. 기능 
  3. 시설 
  4. 보행모형 
  5. 만족도 
  6. 소결 

 

제 3 장 보행자와 보행환경 
  1. 보행자와 보행환경의 특성 
    1) 보행자와 보행환경의 개념 
    2) 보행자의 욕구 
  2. 보행자의 인지 공간과 심리적 거리 
  3. 보행친화적인 가로환경 
    1) 보행환경의 사회적 의미 
    2) 보행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보행환경 
    3) 보행친화적 가로공간 조성 
  4. 상업지역의 보행환경과 보행행태 
    1) 심층 인터뷰 
    2) 보행행태 및 보행환경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 
  5. 소결 
    1) 상업지역에서의 보행 행태 
    2) 상업지역의 보행환경 활성화 요소 

 

제4장 평가지표 선정 
  1. 기존평가체계의 검토 
  2. 평가체계의 범주설정 

 

제5장 보행환경 분석의 주요개념 
  1. 보행환경 평가체계 주요개념 
    1) 보행환경평가단위(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Unit) 
    2) 보행초점(Pedestrian Focus) 
    3) 주요개념의 의미 
  2. 보행환경 분석방법 
    1) 접근성 
    2) 우회도 
    3) 연면적 배분법 
  3. 소결 
 
 제6장 사례대상지 현황분석 
  1. 대상지 선정 
  2. 지역별 현황 
    1) 강남역 주변 
    2) 홍대 주변 
    3) 범계역 주변 
    4) 보행초점도 작성 

 

 제7장 보행량 및 물리적 현황조사 
  1. 보행량 조사 
    1) 조사 개요 
    2) 조사 결과 
  2. 물리적 조사 
    1) 조사 개요 
    2) 조사방법 및 평가방법 
  3. GIS 분석 
    1) 접근성과 우회도 산정 
    2) 보행초점 연면적 배분도 작성 
    3) 보행초점 보행량 배분도 작성 
    4) 보행초점 단위 보행량 배분도 작성 
  4. 분석결과 

 

 제8장 종합분석 및 결론 
  1. 종합분석 
  2. 결론 


 참고문헌 
 Summary 
 부록1. 보행행태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부록2. 보행환경 이용행태조사 설문지 
   1) 상업지역 보행행태 설문조사 
   2) 보행행태에 대한 심층 인터뷰 
 부록3. 보행환경 현황조사 및 분석 도면 
   1) 보행초점(PF) 보행량 관측결과도면 
   2) 보행환경평가단위(PEEU) 내부보행량 관측결과도 
   3) 네트워크 분석도(연면적 배분도) 
   4) 네트워크 분석도(접근성) 
   5) 네트워크 분석도(우회도) 
   6) 네트워크 분석도(보행량 및 단위보행량 배분도)
   7) 물리적 조사 현황도 
   8) 가로 단면도 

오성훈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