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AURI-기본-2011-7
- 2011.12.31
- 165페이지
- 조회수 14527
이 연구는 도시의 부족한 공공공간을 확보하고, 특히 공공공간의 공급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에서 일상생활과 밀접한 공공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담당 실무자나 공무원, 주민 등 관련 주체들이 사업추진시 쉽게 이해하여 활용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을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특히 예산, 인력 등 현실적인 제약조건을 극복하고 최소한의 디자인 품질을 확보하는 동시에, 장소적 맥락에 적합한 생활밀착형 공공공간을 조성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기존에 조성된 관련 사례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 연구를 기초로 만들어진 매뉴얼은 도시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공공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다양한 사례들과 함께 제시함으로써 정부 및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공공공간 관련 정책 및 사업추진시 관련 주체들이 참고할 수 있는 업무지침의 일부로 활용가능할 것이며, 생활밀착형 공공공간에 대하여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민, 관련 실무자, 정부 및 지자체 공무원에 대한 교육 및 홍보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이유로 법·제도적 틀에서 제외되어 있어 관리되고 있지 못하는 애매한 도시 공간의 공공적 활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향후 이와 관련한 정책 마련이나 제도 개선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1) 공간적 범위
2) 내용적 범위
3) 연구의 흐름도
3. 관련 선행연구 검토
1) 건축도시공간연구소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
2) 기타 관련 선행연구
3) 기존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생활밀착형 공공공간에 대한 이해
1. 생활밀착형 공공공간의 개념과 가치
1) 생활밀착형 공공공간의 개념
2) 생활밀착형 공공공간의 가치
3) 생활밀착형 공공공간의 특성
2. 생활밀착형 공공공간의 유형
1) 도시기반시설
2) 개별건축물 관련
3) 기타 도시 유휴공간
제3장 국내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실태조사
1. 조사개요
2. 대상지별 실태조사 결과
1) 대도시_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1동 일대
2) 수도권_성남시 수정구 수진2동 일대
3) 지방 중소도시_영주시 영주1동 일대
3. 실태조사 종합 및 시사점
제4장 국내·외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조성사례 분석
1. 도시기반시설 관련 공공공간
2. 개별건축물 관련
3. 기타 도시 유휴공간
4. 사례분석 종합 및 시사점
1) 공공공간 유형별 특성
2) 공공공간 조성주체별 특징
3) 공공공간 조성 추진방식별 특성
제5장 도시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조성방안
1. 공공공간 조성을 위한 부지 확보
1) 기존 공공공간의 적극적인 활용
2) 도심 내 다양한 유휴공간 발굴
2. 다양화 사업방식과 제도의 활용
1) 다양한 관련사업의 활용
2) 관련 제도의 적극적인 활용
3. 여러 주체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1) 다양한 주체참여를 위한 사업추진체계 구축
2) 교육과 홍보를 통한 관련 주체의 인식 개선
4.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
1)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조성을 위한 정책 방향과 전략 수립
2)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관련 법규 및 구체적인 설치기준 마련
3) 전문인력 지원방안 마련
4) 민간참여 방안 마련
5.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디자인전략 수립
1)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조성을 위한 기본방향
2) 좋은 생활밀착형 공공공간의 설계기준 마련
제6장 도시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조성 매뉴얼 개발
1. 매뉴얼의 목적과 활용방향
1) 매뉴얼의 개념
2) 매뉴얼의 목적과 활용방향
2. 도시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조성 매뉴얼(안)
제7장 연구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SUMMARY
이상민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