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AURI-기본-2011-9
- 2011.12.31
- 313페이지
- 조회수 2448
기초건축교육은 일상생활 속에서 매일 접하는 공간인 건축과 도시환경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토대로 우리의 주변환경을 스스로 가꿀 수 있는 능력과 보다 나은 장소를 만드는데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시민의식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최근 시민의식이 성장하고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신도시개발, 뉴타운사업 등 도시정비사업 추진시 지역주민의 참여 기회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시계획과정에서 주민참여제도가 효율적으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전문가와 비전문가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도록 건축과 도시에 대한 기초 소양을 함양시킬 필요가 있다.
국외에서는 1980년대부터 건축 및 공간환경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1990년대에 대부분 공공교육과 연계되기 시작하였으며, 2002년 이후, 세계 27개 국가(110여개 기관)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기초건축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공유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재정적·학술적 지원을 본격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국내에서는 기초건축교육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일부 단체가 있으나 재원조달 및 전문강사 부족, 단기간 교육캠프 등의 이벤트성 행사로 운영되는 경우가 다수여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초건축교육에 대해 처음으로 진행되는 연구인 만큼 국내 기초건축교육 현황과 해외 선진국의 사례를 면밀히 조사·분석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기초건축교육의 개념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단계별 추진전략 및 실행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연구범위
3. 선행연구 분석
4. 연구수행 방법 및 추진체계
5. 연구 흐름도
제2장 기초건축교육의 필요성 및 개념설정
1.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른 기초건축교육의 역할과 필요성
1) 우리 도시·건축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확립
2) 주민참여 정책 확대에 따른 수준 높은 시민의식 함양
3)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 양성
2. 기초건축교육의 범위 및 개념설정
1) 주제에 따른 관련 교육분야와의 관계
2) 영역에 따른 기초건축교육의 범위와 개념
제3장 현행 건축·도시 관련 교육의 현황 및 과제
1. 청소년을 위한 학교기초건축교육
1)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교육여건 변화
2) 현행 초·중·고등학교 정규교과에서의 건축·도시 관련 내용
3) 재량 및 특별활동을 통한 건축·도시 관련 교육 프로그램
4) 비제도권에서의 청소년기초건축교육
5) 시사점
2. 시민교육으로서의 사회기초건축교육
1) 주민역량강화를 위한 도시대학 교육 프로그램
2) 건축 기초소양을 위한 사회기초건축교육
3) 문화행사 내 기초건축교육 관련 프로그램
4) 다양한 매체별 사회기초건축교육 관련 프로그램
5) 시사점
제4장 국내·외 교육 운영사례와 시사점
1. 국내 타 유사교육의 운영사례와 시사점
1)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예술교육
2) 환경부의 환경교육
3) 시사점
2. 해외 기초건축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체계
1) 정부주도 중심의 핀란드 기초건축교육
2) 관련분야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영국 기초건축교육
3) 지역 중심의 미국 기초건축교육
4) 각 국별 교육 운영체계 비교 및 시사점
제5장 기초건축교육의 기본방향
1. 기초건축교육의 배경 및 목적
2. 교육 대상
3. 교육 목표
4. 교육 관련주체 및 역할
5.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향
6. 교육 방법
7. 단계별 추진전략
제6장 기초건축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방안
1. 기초건축교육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교육기반 구축
1) 기초건축교육 관련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및 협업 시스템 마련
2) 기초건축교육 활성화를 위한 관련 법·제도 개선
3) 지속적인 교육지원 자금 확보 및 운영
4) 기초건축교육의 성과·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DB 구축
5) 기초건축교육센터(가칭) 구축 및 운영
2. 공교육으로서 학교기초건축교육의 단계적 확대
1) 현행 정규교과서 내의 건축·도시 관련 내용 개정 및 보완
2) 학교기초건축교육 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
3) 어린이 및 청소년 기초건축교육 연구학교, 캠프 등 시범사업 추진
4) 기초건축교육 전문인력 확보
5) 현행 교사 연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3. 시민교육으로서 다양한 계층을 위한 사회기초건축교육 내실화
1) 기존의 다양한 사회기초건축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2) 지역 공공시설 연계 사회기초건축교육 지원 확대
3) 지역의 사회기초건축교육 활성화 지원
4) 유관계층을 위한 사회기초건축교육 지원
5) 다양한 매체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7장 결론
참고문헌
SUMMARY
부록1. 영국 기초건축교육 프로그램(Architecture week for School)
부록2. 제1차 UIA 건조환경교육 가이드라인 원문
부록3 제2차 UIA 건조환경교육 가이드라인 원문
김영현 연구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