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개발
임유경 연구원 고은정 연구원
  • AURI-기본-2009-4
  • 2009.12.31
  • 240페이지
  • 조회수 4813
요약 최근 도시계획 패러다임은 비어있는 대지에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기성시가지 위에 새로운 개발이 첨가되는 도시정비로 변화하였다. 재개발, 재건축, 재정비 등 현대의 도시 관련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기성시가지가 가진 문제점을 치유하여 지역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기성시가지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진단(diagnosis)’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공공공간과 공공건축을 촉매로 지역환경을 개선하는 등 기성시가지 정비에 있어서 공공부문의 역할이 증대되면서 기성시가지의 공공영역에 대한 체계적인 현황진단에 근거하여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객관적 현황자료 구축의 필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1) 연구의 공간적 범위
    2) 연구의 내용적 범위
  3.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필요성 제시
    2) 국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자료 구축 및 활용 사례 검토
    3) 공공공간 현황진단(diagnostic) 모형 제안 및 검토
    4)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활용을 위한 정책 제언
  4. 주요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1) 선행연구의 현황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5. 연구 추진 과정

 

 제2장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축의 필요성
  1. 공공공간의 질 : 세 가지 주요 관점
    1) 공공공간의 질에 대한 논의
    2) 공공공간의 질 : 세 가지 주요 관점
    3) 공공공간의 질적 현황에 대한 객관적 진단
  2.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전제 : 통합적 접근
    1) 서로 다른 공공공간들에 대한 통합적 접근
    2) 공공공간과 인접필지에 대한 통합적 접근
    3) 건축물과 필지내외부공간에 대한 통합적 접근
  3. 공공공간 현황진단 도구로서의 공공공간 도식화의 필요성
    1) 공공공간(외부공간) 도식화의 역사
    2) 도시디자인 도구로서의 공공공간 도면
  4.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효용성
    1) 통합적 접근을 위한 수단
    2) 잠재요소 발굴·문제 진단 및 지속적 관리를 위한 수단
    3) 사업 프로세스 투명화를 위한 근거 제공

 

 제3장 국내 공공공간 현황자료 구축과 활용 현황
  1. 국내 공공공간 관련 계획의 현황조사 항목
    1) 도시단위 : 도시기본계획, 도시경관계획
    2) 지구단위 : 지구단위계획
    3) 사업단위 : 가로환경개선사업
  2. 공공공간 현황자료 작성 형태
    1) 도면
    2) 사진
    3) 수량 데이터
  3. 국내 지자체 공공공간 현황자료 구축․활용 및 관리 현황
    1) 지자체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현황
    2) 공공공간 현황자료 활용 및 관리 현황
  4. 소결

 

 제4장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축 및 활용 사례 분석
  1.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유형
    1) 도시 공공공간 전반의 정비전략 수립을 위한 도구로서의 현황진단모형
    2) 공공건축에의 보행접근성 개선을 위한 도구로서의 현황진단모형
    3) 민간소유 공공공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의 현황진단모형
    4)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을 위한 현황진단 모형
  2.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및 체계
  3.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작성 형태
  4.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활용 및 관리 현황
  5. 소결

 
제5장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제안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도출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도출 프로세스
    2)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및 조사항목
  2.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주요 관점별 평가기준 및 긍정·문제 요소 도출
    1) 매력도
    2) 접근성
    3) 연계성
  3.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평가기준의 중요도 검토
    1) 전문가 설문조사의 개요
    2) 평가기준 중요도 검토 결과
  4.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제안
    1) 도시 단위
    2) 지구 단위
    3) 가로 단위
    4) 필지 단위(건축물과 주변부)
  5.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검토
    1) 시범적용 대상지 개요
    2)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적용
    3)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시범적용 주요 결과 분석

 

 제6장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방식 및 활용 방안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및 활용 방안
    1) 도시 단위 공공공간 계획 수립에 있어서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2) 지구 단위 공공공간 계획 및 사업 추진에 있어서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3) 필지 단위 공공공간 개선 사업 추진에 있어서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
       공공건축 주변부 통합  환경 조성
  2. 국가공간정보체계(KOPSS)와 연계 방안 모색
    1) 공공공간 현황의 자료모형과 정보화의 필요성
    2) 국가공간계획지원체계와 연계 방안 모색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 연구 성과와 한계
  2. 정책 제언
    1) 도시디자인부서를 중심으로 한 공공공간 현황자료 구축 및 활용
    2) 기존 공공공간 관련 계획 수립지침의 기초조사 항목 추가 검토
    3) 국가공간계획지원체계(KOPSS)와 연계 가능성 모색

 

 참고문헌
 SUMMARY
 부록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평가기준 도출을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
 부록 2. 공공공간에 대한 시민 인식조사
 부록 3. 공공공간에 관한 시민 인식 조사 결과

임유경 연구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