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AURI-기본-2009-4
- 2009.12.31
- 240페이지
- 조회수 4813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1) 연구의 공간적 범위
2) 연구의 내용적 범위
3.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필요성 제시
2) 국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자료 구축 및 활용 사례 검토
3) 공공공간 현황진단(diagnostic) 모형 제안 및 검토
4)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활용을 위한 정책 제언
4. 주요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1) 선행연구의 현황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5. 연구 추진 과정
제2장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축의 필요성
1. 공공공간의 질 : 세 가지 주요 관점
1) 공공공간의 질에 대한 논의
2) 공공공간의 질 : 세 가지 주요 관점
3) 공공공간의 질적 현황에 대한 객관적 진단
2.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전제 : 통합적 접근
1) 서로 다른 공공공간들에 대한 통합적 접근
2) 공공공간과 인접필지에 대한 통합적 접근
3) 건축물과 필지내외부공간에 대한 통합적 접근
3. 공공공간 현황진단 도구로서의 공공공간 도식화의 필요성
1) 공공공간(외부공간) 도식화의 역사
2) 도시디자인 도구로서의 공공공간 도면
4.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효용성
1) 통합적 접근을 위한 수단
2) 잠재요소 발굴·문제 진단 및 지속적 관리를 위한 수단
3) 사업 프로세스 투명화를 위한 근거 제공
제3장 국내 공공공간 현황자료 구축과 활용 현황
1. 국내 공공공간 관련 계획의 현황조사 항목
1) 도시단위 : 도시기본계획, 도시경관계획
2) 지구단위 : 지구단위계획
3) 사업단위 : 가로환경개선사업
2. 공공공간 현황자료 작성 형태
1) 도면
2) 사진
3) 수량 데이터
3. 국내 지자체 공공공간 현황자료 구축․활용 및 관리 현황
1) 지자체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현황
2) 공공공간 현황자료 활용 및 관리 현황
4. 소결
제4장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축 및 활용 사례 분석
1.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유형
1) 도시 공공공간 전반의 정비전략 수립을 위한 도구로서의 현황진단모형
2) 공공건축에의 보행접근성 개선을 위한 도구로서의 현황진단모형
3) 민간소유 공공공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의 현황진단모형
4)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을 위한 현황진단 모형
2.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및 체계
3.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작성 형태
4. 해외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활용 및 관리 현황
5. 소결
제5장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제안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도출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도출 프로세스
2)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구성요소 및 조사항목
2.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의 주요 관점별 평가기준 및 긍정·문제 요소 도출
1) 매력도
2) 접근성
3) 연계성
3.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평가기준의 중요도 검토
1) 전문가 설문조사의 개요
2) 평가기준 중요도 검토 결과
4.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제안
1) 도시 단위
2) 지구 단위
3) 가로 단위
4) 필지 단위(건축물과 주변부)
5.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검토
1) 시범적용 대상지 개요
2)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적용
3) 기성시가지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시범적용 주요 결과 분석
제6장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방식 및 활용 방안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및 활용 방안
1) 도시 단위 공공공간 계획 수립에 있어서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2) 지구 단위 공공공간 계획 및 사업 추진에 있어서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3) 필지 단위 공공공간 개선 사업 추진에 있어서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운용 :
공공건축 주변부 통합 환경 조성
2. 국가공간정보체계(KOPSS)와 연계 방안 모색
1) 공공공간 현황의 자료모형과 정보화의 필요성
2) 국가공간계획지원체계와 연계 방안 모색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 연구 성과와 한계
2. 정책 제언
1) 도시디자인부서를 중심으로 한 공공공간 현황자료 구축 및 활용
2) 기존 공공공간 관련 계획 수립지침의 기초조사 항목 추가 검토
3) 국가공간계획지원체계(KOPSS)와 연계 가능성 모색
참고문헌
SUMMARY
부록 1. 공공공간 현황진단모형 평가기준 도출을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
부록 2. 공공공간에 대한 시민 인식조사
부록 3. 공공공간에 관한 시민 인식 조사 결과
임유경 연구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