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임유경 부연구위원 성은영 임강륜
  • AURI-기본-2015-6
  • 2015.10.31
  • 302페이지
  • 조회수 8524
요약
  “도시는 선(線)이다.”라는 슬로건 아래 도로 건설과 자동차 교통 문제 해결 정책을 추진한 김현옥 시장이 서울시장으로 재임한 1966년부터 70년까지 서울시에는 140개가 넘는 보도육교가 생겼으며, 고가도로와 지하도가 만들어졌다. 폭 8~10미터의 좁은 도로에 전차와 버스가 다니던 서울 도심부는 1960년대 중반 이후 도로가 확충되고 대규모 재개발 사업이 일어나면서 점차 자동차 중심의 도시로 변화했다. 강남 등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조성된 서울 신시가지의 블록은 폭이 50미터에 이르는 광로로 구획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지방 대도시에서도 나타났다. 1980년대 이후 개발된 신도시는 근린주구 개념이 적용되어 간선도로로 구획된 슈퍼블록으로 계획되었다.
  최근 우리나라 도시에서는 차량의 원활한 소통보다 걷는 ‘사람’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행복한 생활문화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생활인프라를 확충하고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으며, 주요 지자체는 ‘사람 중심 도시’, ‘보행친화도시’를 만드는 것을 시정 목표로 설정하고 관련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많은 지자체에서 가로환경개선사업을 시행하였으며, 차도를 줄이고 보도를 확장하는 ‘도로다이어트’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보다 쾌적한 가로에서 마음껏 걷고, 사람을 만나고, 도시를 즐기려는 사람들의 요구가 높아지고 이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3. 연구 방법과 범위 6
4.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9
5. 연구 추진 과정 14

제2장 이론 검토와 ‘사람 중심 가로’ 개념 정립
1. 문헌 조사 개요 15
2. 국외 가로 논의의 흐름 16
1) 19세기 후반-20세기 초 : 다양한 가로계획 개념의 등장과 충돌 16
2) 20세기 초 : 통행을 위한 기관으로서 가로, 기능별로 분리된 가로 18
3) 1960-70년대 : 가로, 다양한 삶의 공간으로 회귀 23
4) 1980-90년대 : 구체적인 실증 사례로 가로의 사회적 공간 특성 규명 28
5) 2000년대 이후 : 걷기 쾌적하고 안전하며 지역적 특성을 지닌 휴먼스케일의 가로 33
6) 국외 가로 관련 논의의 흐름 44
3. 국내 가로 논의의 흐름 46
1) 1970-80년대 : 가로 역할과 지향점 혼재 46
2) 1990년대 : 가로경관의 체계적 관리, 보행 중요성 증가 48
3) 2000년대 : 걷기 좋은 가로, 사용자의 편의를 만족시키는 가로 52
4) 2010년 이후 : 역사 문화 및 지역적 특색을 살린 가로 57
5) 국내 가로 관련 논의의 흐름 62
4. 국내외 가로 논의의 흐름 종합 67
5.‘사람 중심 가로’개념 정립 69
1) 이동 : 모든 이용 주체가 서로 배려하며 공유하는 공간 “shared space” 69
2) 기능 : 다양한 선택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 “Street as Place” 69
3) 시각과 형태 : 인간 척도에 맞는 쾌적한 공간 “human scale street” 69
6. 연구 질문과 분석틀 70

제3장 도시설계 사례 분석 1 : 기성시가지 정비
1. 기성시가지 정비 관련 제도 73
1) 도시환경정비사업에 의한 기성시가지 정비 73
2) 지구단위계획에 의한 기성시가지 정비 79
2. 국내 기성시가지 정비 사례 84
1) 도시환경정비사업 : 서울 도심부 도시환경정비구역 청진구역 84
2) 지구단위계획 : 서울 강남 서초로 지구단위계획구역 107
3) 분석 종합 133
3. 국외 기성시가지 정비 사례 : 일본 도쿄 137
1) 가로공간 만들기 정책 방향 설정 및 조례 제정 137
2) 블록 재편 마치즈쿠리(街区再編まちづくり) 제도의 신설 138
3) 적용 사례 : 신주쿠 6쵸매 서북지구 145
4) 시사점 160
4. 소결 161
1) 도시환경정비사업 : 차량 이동을 우선한 기반시설 정비와 건축물 대형화 161
2) 지구단위계획에 의한 정비 : 보차공존, 가로공간 계획 실현에 한계 161
3) 지역 차원의 정책방향 변화와 민간 부문 유도 방안 필요 162

제4장 도시설계 사례 분석 2 : 신시가지 개발
1. 신시가지 개발 관련 법제도 163
2. 국내 신시가지 개발 관련 사례 168
1) 분당신도시 168
2) 행정중심복합도시 1-4 생활권 187
3) 충북 진천·음성 혁신도시 205
4) 마곡 R&D 시티 214
5) 개발계획 규모 비교 221
6) 분석 종합 223
3. 국외 신시가지 개발 사례 : 캐나다 밴쿠버 SEFC(Southeast False Creek) 226
1) 밴쿠버 시의 개발사업 계획체계와 SEFC정책 방침 226
2) SEFC 개발계획 주요 내용 230
3) 공공영역 계획과 사유지 가이드라인 234
4) 시사점 242
4. 소결 244
1) 차량 이동 중심의 도시구조 결정, 슈퍼 블록의 형성과 용도 분리 244
2) 차량 동선과 보행 동선의 분리, 특화거리 중심의 가로공간계획 244
3) 보행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도시구조와 가로공간계획 필요 245

제5장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기본방향
1. 기본 전제 247
1) 가로는 다양한 주체가 공유하는 공간 247
2) 가로공간은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의 총합 248
3) 가로는 이동만을 위한 ‘선(線)’이 아니라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249
2.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기본방향 50
1) 다양한 이용 주체를 함께 고려하여 교통계획 수립 및 도시구조 구상 250
2) 기성시가지 정비시 가로 성격을 고려한 지구 지정 252
3) 가로 성격 유형을 구분하여 도시설계 적용 253
4) 가로공간에 대한 공공계획 강화 + 민간 참여 유도 방안 마련 255
3. 향후 정책 과제 258
1) 새로운 방식의 가로 유형 구분 및 조성원칙 정립 258
2) ‘사람 중심 가로’ 실현을 위한 도시 구조로 개편하기 위한 법제도 기반 마련 259
3) 토지이용 및 건축물 특성을 반영한 사용자 중심의 가로공간계획 제도화 필요 261
4) 지역 여건 및 수요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 261

제6장 결 론
1. 연구 성과 263
2. 연구 한계와 향후 과제 268

참고문헌 271
SUMMARY 279

임유경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