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한옥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인문학적 가치 발굴 연구 (3)
이강민 부연구위원 엄운진 박민정
  • AURI-한옥-2014-6
  • 2014.12.31
  • 230페이지
  • 조회수 1951
요약
본 연구는 그동안 주로 물리적인 대상으로 이해되어오던 한옥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자 인문학 분야의 연구 성과와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한옥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이는 한옥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한옥에 관한 이야기를 만드는 작업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기초적인 개념을 정리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한옥의 미래상과 세계화 모색을 위하여 주거문화로서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그와 결부된 인문학적 개념에 대하여 탐구한다. 여기에는 한옥에서 도출되는 가치를 정리하여 미래적 활용 가치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있다. 이 연구는 정부 주도의 한옥기술개발연구 사업과는 또 다른 방향에서, 국가한옥센터의 한옥문화육성 연구의 주요한 축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옥의 가능성과 가치를 지속적으로 발굴함으로써 기술과 인문학이 상호 연계된 한옥활성화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제1장 머리말 1
1.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시리즈의 구성 2
2. 그간 연구의 성과 4
1) 국가한옥센터 한옥문헌 DB 4
2) 주요 연구성과 8
3. 한옥의 자연관 연구 추진방안 11

제2장 한국건축 단행본 서술에서 자연의 성격 13
1. 머리말 13
2. 자연스러움의 윤리적 차원 : 신영훈 17
1) 자연스러움의 의미 17
2) 자연스러움의 경제성 18
3) 자연스러움의 미학 19
4) 자연스러움의 보존과 확장 20
5) 한옥 건축의 윤리적 차원 22
3. 집합의 완결로서 자연 : 김봉렬 23
1) 문화로서의 자연 23
2) 자연과의 집합 24
3) 집합의 차원 26
4) 집합의 변증법 28
5) 집합의 완결 30
6) 자연의 방향성 31
4. 성찰적 자연과 매개적 건축 : 승효상 34
1) 동양적 혹은 한국적 자연 34
2) 서사적 풍경으로서 건축 35
3) 지형의 보존 : 부석사 37
4) 조작의 당위 : 소쇄원 39
5) 건축의 역할 : 병산서원 40
5. 자연에 대한 공간 열기 : 김인철 42
1) 경외로운 자연과 건축의 숙명 42
2) 땅의 형국과 건축의 자연스러움 44
3) 땅의 경험과 시간 45
4) 공간 추상 47
5) 공간열기 49
6. 맺음말 51

제3장 한국의 미와 예술 해석에 있어서 ‘자연’의 의미 53
1. 머리말 53
2. 한국적 미의식의 근원으로서의 자연 55
1) 자연 : 대립과 모순을 통합하는 생명력 55
2) 한국미의 범주체계와 중심원리로서의 자연 59
3. 한국미술의 미의식과 ‘자연주의’ 67
1) 자연과 인간 : 내면적 심성미로서의 자연 67
2) 한국전통미술과 ‘자연주의’ 이념 68
4. 한국근현대미술에 나타난 자연관 72
1) 한국근현대미술과 자연 72
2) 추상미술을 통해 본 자연의 의미 73
3) 극사실회화 : 자연과 문화 80
5. 맺음말 83

제4장 서양 건축이론의 맥락에서 자연의 해석 85
1. 머리말 85
2. 번역으로서의 근대 87
1) 번역의 문제 87
2) 근대라는 비가역적 과정 89
3. 퓌시스와 건축의 모델로서의 인체 93
1) 퓌시스: 모든 것의 본성 93
2) 신체와 건축의 유비 95
4. 기원으로서의 자연 97
1) 판단의 최종 심급 97
2) 신화적 기원 101
5. 척도로서의 기계 104
1) 자연과 기계, 그리고 자유 104
2) 자연의 재등장과 디지털 건축 105
6. 맺음말 107

제5장 한옥의 정원 문화와 자연의 의미 109
1. 머리말 109
2. 한옥 바깥공간의 구성 111
1) 한옥의 마당인 정(庭) 111
2) 자연과 통하는 원(園) 114
3. 산수자연의 재현 123
1) 자연 개념의 형성 123
2) 산수화와 차경 126
4. 자연 정원의 기능 130
1) 아회(雅會) 장소로서의 정원 130
2) 완상(玩賞) 장소로서의 정원 132
5. 맺음말 135

제6장 한양의 자연과 건축을 대상으로 한 조선시대 팔경 담론의 전개 137
1. 머리말 137
2. 팔경 담론의 형성 140
1) 소상팔경, 중국 강남 문화의 흥기 140
2) 송도팔경, 고려의 문화적 자부심 141
3. 왕도 한양의 자연 명승 142
1) 조선왕실과 한양의 승경 142
2) 경화거족과 한강변의 별서 144
4. 조선후기 북촌 경관의 대두 149
1) 경화벌열 주거지의 발달 149
2) 이상적인 주거지로서의 산거(山居) 153
5. 자연과 건축과 시화의 결합 157
1) 장동과 안동김씨의 세거(世居) 157
2) 장동팔경처보가 국도팔영 159
6. 맺음말 164

제7장 이상적 주거관과 자연에 관한 전통적 인식과 논의 165
1. 이상향의 공간적 성격과 특징 165
1) 이상향의 성격과 양상 165
2) 이상향의 유형과 특징 168
3) 이상향의 지리적 성격 170
2. 이상적 주거관과 거주환경 논의 173
1) 홍만선의 「산림경제」 173
2) 이중환의 「택리지」 175
3) 유중림의 「증보산림경제」 183
4)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185

제8장 맺음말 193
참고문헌 195
Summary 203

부록 : 한옥 관련 문헌에서 자연의 서술 사례 207

이강민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