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지방이주 청년의 정주지속을 위한 청년활동공간 조성방안 연구
장민영 부연구위원 임보영 부연구위원 송윤정 연구원 윤주선 부연구위원
  • 기본연구보고서 2021-13
  • 2021.12.31
  • 277페이지
  • 조회수 27647
요약

본 연구는 인구감소 위기의 지방중소도시로의 청년인구 유입책이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 지역사회의 생활 및 활동기반이 되는 청년활동공간의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방이주를 일련의 ‘과정’으로 접근하여 탐색-이주-정착-정주지속의 단계별정책 추진현황과 청년 수요를 파악하고, 지방이주 현상을 심도 깊게 분석함으로써 지방이주 및 청년 지원 정책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지자체 정책 대상 범주를 정주인구에서 관계인구로 확장하고, 이주 및 정착의 관점에서 지방중소도시 청년활동공간의 조성 기본방향과 사업추진절차를 제시하였다는 점은 향후 지자체 정책 마련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지방중소도시는 인구수나 도농복합시, 군지역 등 지자체 규모나 특성에 따라 청년들의 이주목적, 생활패턴, 지역 내 필요공간이 달라질 수 있으며, UIJ턴의 이주형태에 따라 지역사회 관계망 구축 방식이나 일자리 창출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그밖에 지역 내 앵커기업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적자원의 유무나 유휴·공공공간 등 물적자원의 현황에 따라서도 청년활동공간 조성 세부전략은 다양해질 수 있다. 따라서 지역 맞춤형 청년활동 공간 조성을 위해서는 공간 유형별 사업모델을 발굴하고 시범사업 추진 및 사업실행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후속 연구 진행이 필요하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6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1) 연구 범위 7

  2) 연구 방법 11

  3) 연구 추진절차 13

3. 선행연구 검토 14

  1) 선행연구 현황 14

  2) 본 연구의 차별성 16


제2장 청년의 지방이주 현황과 정주지속의 개념 및 쟁점

1. 청년의 지방이주 및 정주지속의 의미 19

  1) 지방이주 개념과 국내 관련 정책의 추진 동향 19

  2) 지방이주 단계와 정주지속의 사회적 의의 20

2. 청년문화의 경향과 청년활동공간의 개념 정립 23

  1) 청년문화의 개념과 경향 23

  2) 청년활동공간의 개념과 정의 25

3. 지방중소도시 청년인구 동향 및 지방이주 현황 분석 36

  1) 청년인구 현황 및 이동특성 분석 36

  2) 청년의 지방이주 선호 및 수요 분석 41

4. 청년의 지방이주 및 정주지속 관련 주요 쟁점 45


제3장 청년의 지방이주 지원 및 청년활동공간 조성 관련 정책

1. 청년 지원정책 및 제도 47

  1) 청년지원 관련 법제 현황 47

  2) 청년지원 관련 정책 및 사업 현황 53

2. 청년의 지방이주 및 청년활동공간 조성 지원정책 61

  1) 중앙정부 사업 61

  2) 지자체 사업 69

3. 일본의 지방이주 지원정책 74

  1) 지방 도시의 인구감소 문제 해소를 위한 일본의 정책 추진 현황 74

  2) 인구감소지역 정주 및 정착 지원을 위한 정책 및 사례 79

4. 소결 85


제4장 지방이주 청년의 정주지속 현안 및 청년활동공간 조성 현황 분석

1. 분석개요 89

2. 청년의 지방이주 경험 및 정주지속 현안 분석 91

  1) 분석개요 91

  2) 지방이주 및 정착의 유입요인과 저해요인 92

  3) 지방이주 및 정주지속을 위한 지원정책과 청년활동공간 수요 96

3. 청년의 지역정착과 연계한 공간조성 사례 분석 105

  1) 분석개요 105

  2) 충남 서천군 한산면 일대 108

  3) 충남 공주시 중학동 일대 115

  4) 전북 완주군 고산면 일대 122

  5) 전남 목포시 목원동 일대 130

4. 분석종합 및 시사점 138


제5장 지방중소도시 청년활동공간 조성방안 마련을 위한 대안 검토

1. 대안 검토 개요 141

2. 대상지 현황 분석 144

  1) 공주시 청년인구 현황 144

  2) 청년의 지방이주 동향 및 청년그룹 현황 145

  3) 대상지의 물리적 현황 및 주요 사업 추진현황 150

  4) 대상지 일대 청년활동공간 조성 현황 155

3. 대상지 일대 청년활동공간 이용실태 및 수요조사 158

  1) 청년활동공간 이용실태 158

  2) 청년마을 만들기 지원사업 프로그램 참가자 대상 설문조사 160

  3) 관계인구 및 이주청년 대상 심층인터뷰 163

  4) 중학동 청년활동공간 조성방향 모색을 위한 공간워크숍 165

  5) 종합 168

4. 청년활동공간 조성방향 및 사업화방안 대안 검토 169

  1) 청년활동공간 조성방향 설정 169

  2) 청년활동공간 사업화방안 제시 173

  3) 대안 검토 결과 시사점 및 과제 177


제6장 지방이주 청년의 정주지속을 위한 청년활동공간 조성 및 정책지원 방안

1. 지방이주 청년의 정주지속을 위한 청년활동공간 조성 기본방향 179

2. 지방중소도시 청년활동공간 조성 추진전략 182

  1) 지방이주 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청년활동공간 및 프로그램 지원 182

  2) 청년 수요 대응형 단계적 공간 조성 187

  3) 공간적 범위에 따른 청년활동공간의 전략적 조성 189

3. 청년활동공간 조성 사업추진절차 및 운영관리체계 192

  1) 청년활동공간 조성을 위한 계획수립 및 사업추진절차 192

  2) 청년활동공간의 지속가능한 운영관리체계 194

4. 정책지원 및 제도개선 방안 197

  1) 청년의 지역정착 및 청년활동공간 조성 지원을 위한 제도적 근거 마련 197

  2) 청년활동공간 조성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지원 및 제도개선 방안 199

  3) 지속가능한 청년 활동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지원 방안 203


제7장 결론

1. 연구 성과 205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추진과제 208


참고문헌 209


SUMMARY 221


부록 225

장민영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