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AURI-기본-2012-12
- 2012.12.31
- 260페이지
- 조회수 2984
종전의 하향식 계획체계가 참여적 계획으로 이행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계획 과정에서 공간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조사체계가 달라질 필요가 있다. 기존의 도시관리계획이나 경관계획 등 법·제도에 의한 계획체계 속에서 실질적인 공간적 체험을 반영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적절한 조사 및 정보 수집 방법이 결여된 상태로 전문가의 직감이나 제한적인 설문조사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답보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인터넷 상의 이용자 지리정보 콘텐츠에 대한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폰 이용자수의 급증 및 웹 2.0 기술의 일반화에 힘입어, 인터넷 상의 이용자 지리정보 콘텐츠(Geotagged User Contents, 이하 GUC)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서구를 중심으로 이용자 지리정보 콘텐츠를 도시 마케팅이나 장소 특성 분석에 활용하기 위한 시도가 활발하다. 이러한 사용자 지리정보 콘텐츠 중에서도 인터넷 사진정보의 경우 일반인의 공간 및 경관에 대한 현시적 선호를 표출하는 정보로서, 공간계획 분야의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로서 잠재적 가치가 높은 빅데이터(Big data)로서 주목할 만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사용자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생성된 사진정보를 기존 계획 및 문헌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과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사진정보의 공간계획 분야 활용방안을 탐색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주요 내용
3. 선행연구 검토
제2장 장소중심 공간분석에 대한 연구동향
1. 장소와 장소성의 의미
1)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
2) 장소를 기반으로 한 공간의 분석
2. 장소와 장소성의 평가 및 분석 방법
1) 정성적 평가 및 분석
2) 정량적 평가 및 분석
3. 인터넷 사진 정보를 활용한 공간 분석
1) 인터넷 사진정보의 개요
2) 인터넷 사진정보의 종류 및 범위
3) 인터넷 사진정보를 활용한 장소 분석 방법
4) 인터넷 사진정보 서비스
제3장 인터넷 사진정보를 활용한 공간분석의 틀
1. 분석방법 개요
2. 데이터 획득 및 변환
1) 플리커 사진 정보의 획득
2) 주요 시도별 경관 기본계획에 수록된 경관자원 및 거점 자료 구축
3. 인터넷 사진정보의 밀도 및 중심장소 특성분석
1) 사진정보에 대한 커널밀도분석(Kernal Density Analysis)
2) 중심 장소의 추출과 장소 특성의 분석
4. 전체 사진 데이터의 특성
제4장 인터넷 사진정보를 활용한 공간분석 결과
1. 광역시도별 사진 분포 특성
1) 광역시도별 사진 빈도
2) 주요 광역시(특별시)별 사진 밀도 분포 특성
2. 도시 내 권역별 사진 분포 분석: 서울시 사례
1) 인터넷 사진의 분포와 속성정보를 활용한 도시 내 권역별 분석
2) 사례 분석 결과 1: 서울 도심부
3) 사례 분석 결과 2: 서울 강남권역
4) 사례 분석 결과 3: 서울 신촌권역
3. 중심장소의 인터넷 사진 정보 분석
1) 중심장소 1 : 경복궁 주변
2) 중심장소 2 : 강남역 일대
3) 중심장소 3 : 올림픽공원
4) 중심장소 4 : 홍익대학교주변
4. 공간계획에서 인터넷 사진 정보 활용 방안
1) 경관자원의 평가 및 분석
2) 관광자원 및 관광지의 지정
3) 공간구조 설정 및 시설·공간의 배분
4) 지구단위의 경관 및 미관 상세계획
제5장 결론
1. 정책적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 서울시 권역별 중심장소의 인터넷 사진 정보 분석
조상규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