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일반연구보고서 2018-1
- 2018.12.31
- 125페이지
- 조회수 1540581
본 연구에서는 일반현황 조사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기초조사 지침을 제안하기 위해 17개 광역지자체의 건축기본계획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토대로 일반현황 주요조사 항목, 조사에 이용된 자료의 유형을 분석하고 해당 자료와 관련된 주요 국가통계 및 지역통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조사 유형을 ➀토지·기후, ➁인구·가구, ➂건축·주택, ➃도시계획현황, ➄문화·교육, ➅건축산업 6개 부문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상세조사 내용을 작성하였다. 또한 계획의 신뢰성을 제고를 목적으로 기초조사 시 조사자료의 우선순위와 조사방법에 대한 기본 원칙을 제안하였다.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범위 및 방법 6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6
2) 연구 방법 7
제2장 건축정책기본계획의 개요 9
1. 건축기본계획 관련 법·제도 현황 10
1) 건축 관련 법령 현황 10
2) 건축 관련 지침 및 제도 12
2. 건축정책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20
1) 국가건축정책기본계획의 구성 및 실행체계 20
2) 국가건축정책기본계획의 기초조사항목 현황 22
3. 지역건축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26
1) 지역건축기본계획의 구성 및 실행체계 26
2) 지역건축기본계획의 기초조사항목 현황 30
4. 소결 36
제3장 지역건축기본계획 현황조사 분석 37
1. 지역건축기본계획 일반현황 분석 과정 38
1) 지역건축기본계획 일반현황 자료의 범위 38
2) 지역건축기본계획 일반현황 분석 방법 39
2. 지역건축기본계획 일반현황 조사 자료의 특징 41
1) 건축통계 41
2) 주택통계 46
3) 도시계획현황 통계 51
4) 건축서비스산업 통계 59
5) 교육·문화 통계 64
6) 토지·기후 통계 71
7) 인구·가구 통계 74
3. 지역건축기본계획 일반현황 자료이용의 문제 84
4. 소결 89
제4장 건축기본계획 기초조사 매뉴얼 93
1. 매뉴얼의 목적과 의의 94
2. 기초조사의 내용과 방법 95
1) 기초조사의 목적과 원칙 95
2) 조사방법 및 원칙 96
3) 조사 자료의 특징 99
3. 부문별 조사내용 및 작성기준 103
1) 지역건축기본계획 기초조사 주요내용 103
2) 부문별 조사 기준 105
3) 관계법령 조사를 통한 기초조사 보완 방향 108
참고문헌 111
조상규 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 대규모 언어모델을 활용한 건축법령 해석 지원 시스템 고도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4.12.31 조회수 666
- 도심항공교통 옥상버티포트 설치를 위한 건축물 선정기준 연구 연구보고서 2024.12.31 조회수 892
- 옥외광고물 특정구역 제도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4.11.19 조회수 321
-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활용한 건축민원 대응 효율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3.12.31 조회수 6577
- 디지털 옥외광고물 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3.12.31 조회수 4220
- 공간기반 혁신기술 융복합 건축물 계획 기준 연구 연구보고서 2023.12.31 조회수 50230
- 스마트도시 기술 및 서비스 특성을 고려한 공간계획 방향 연구 연구보고서 2021.12.31 조회수 1904737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활권 공원녹지 개선 방안 연구보고서 2021.10.31 조회수 37007
- 보편적 서비스 개념을 고려한 스마트도시계획 및 사업 개편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1.10.31 조회수 49068
-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개방형 발코니 조성 방안 auri brief 2021.01.30 조회수 43960
- 2020년 12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6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1.01.01 조회수 13641
-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외부 발코니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2020.12.31 조회수 590940
-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건축행정정보 개방 범위 확대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0.12.31 조회수 9138
- 2020년 11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5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12.01 조회수 15218
- 2020년 10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4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11.01 조회수 13360
- 2020년 9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3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10.01 조회수 9689
- 2020년 8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2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9.01 조회수 3385
- 2020년 7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1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8.01 조회수 3435
-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공원 및 가로 공간의 설계·관리 방안 auri brief 2020.07.15 조회수 1550056
- 2020년 6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0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7.01 조회수 3508
- 2020년 5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9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6.01 조회수 3458
- 스마트시티 규제 샌드박스 제도에 대한 국민 인식과 정책적 시사점 auri brief 2020.05.30 조회수 1546811
- 2020년 4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8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5.01 조회수 3438
- 2020년 3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7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4.01 조회수 3431
- 빅데이터를 통해 본 세종시 공유자전거 서비스 이용 특성과 개선 방안 auri brief 2020.02.29 조회수 1547388
- 2020년 1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5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2.17 조회수 3810
- 2019년 12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4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1.20 조회수 3718
- 2019년 11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3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1.08 조회수 3642
- 2019년 10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2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19.12.02 조회수 3671
- 2019년 상반기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49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19.10.18 조회수 28724
- 2019년 7·8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0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19.10.18 조회수 25336
- 2019년 9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1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19.10.18 조회수 3632
- 2018년 하반기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48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18.12.31 조회수 4342
- 2018년 상반기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47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18.07.27 조회수 4377
- 국가 건축물 에너지·온실가스 정보체계 데이터를 활용한 에너지 소비 지도 개발 결과와 시사점 auri brief 2016.12.30 조회수 10076
- 의료시설의 원내감염 예방 및 대응을 위한 건축적 지원방안 연구 - 외래진료부를 중심으로 - 연구보고서 2016.10.31 조회수 12999
- 국가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의 공공·민간분야 활용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6.10.31 조회수 12894
- 건축서비스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공적개발원조(ODA) 활용 방안 auri brief 2016.04.30 조회수 22603
- 2014년 법무부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 현황조사 및 모니터링 연구 연구보고서 2015.12.01 조회수 7340
-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한 건축서비스 산업 해외진출 지원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5.10.31 조회수 24679
- 공공건축물의 에너지성능 제고를 위한 설계 발주제도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2014.08.31 조회수 10558
- 인터넷 사진 정보의 공간계획분야 활용 방안 auri brief 2013.11.22 조회수 3697
- 녹색건축 정책수립을 위한 건축물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구축 및 분석 연구보고서 2013.10.31 조회수 9720
- 국가사회적 여건변화에 대응하는 건축정책 발전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3.10.14 조회수 5695
- 정부 3.0 시대의 건축행정정보 활용을 위한 정책제안 auri brief 2013.09.09 조회수 3465
- 장소중심의 공간계획을 위한 인터넷 사진 정보 활용 방안 연구보고서 2012.12.31 조회수 7629
- 건축행정정보의 정책적 활용 및 건축통계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2.09.28 조회수 8698
- 주거지 재생의 공익성 향상을 위한 공공의 역할 auri brief 2012.04.09 조회수 3381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