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한옥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인문학적 가치 발굴 연구(1)
이강민 부연구위원 박민정
  • AURI-한옥-기본-2012-1
  • 2012.12.31
  • 339페이지
  • 조회수 3518
요약 이 연구는 한옥 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인문학적 가치 발굴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인문학 연구를 통한 한옥 문화의 세계화는 동아시아 중세 문명의 정수로서 한옥 문화의 가치를 발굴하는 작업과 글로벌 시대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한옥 문화의 우수성을 정리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발굴되는 인문학적 가치란 한옥 문화의 스토리텔링에 필요한 상징과 의미를 말하며, 한옥을 대상으로 하는 건축 이론에 통섭의 방법론을 통해 역사학, 철학, 언어학, 문학, 인류학, 사회학, 민속학을 결합시킴으로써 구체화될 수 있다. 이들은 한옥 문화 속의 종교, 신앙, 가치관, 상징 등의 세계관과 관련된 주제, 기후, 풍수, 입지, 친환경성 등 자연환경과 관련된 주제, 신분, 의례, 민속, 장인 등 사회제도와 관련된 주제 등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단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체계적인 지식기반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의 시작 단계에서 기존 한옥 문화의 가치 서술을 재검토하는 작업은 무엇보다도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매체에서 한옥이 다뤄지면서 한옥을 표현하는 어휘는 점차 늘어나는 듯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검증된 바 없는 술어들이 기계적으로 반복 재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며, 맹목적이고 무비판적인 미사여구의 남발은 한옥 문화의 가치를 발굴하고 홍보하는데 오히려 장애가 되고 있다.
근대 이후 본격적으로 서술되기 시작한 한옥 혹은 한국건축의 가치 서술은 기본적으로 근대 미학의 범주에 속하는 작업이다. 건축 문화의 가치 판단은 진리의 규명이나 윤리적 판단보다는 감각적, 심리적 효과에 기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미학적 판단인 경우가 많다. 이 연구에서는 근대 이후 약 100여 년간 한옥의 미학적 가치를 서술하는 술어를 추출하여 각각의 사상적 배경과 물리적 근거를 추적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1 한옥문화의 인문학적 연구

  1) 한옥문화의 인문학적 가치 발굴의 필요성 

  2) 한옥문화 세계화의 방향 설정 

1.2 한옥문화의 가치서술과 한옥미학 

  1) 한옥문화 서술의 현황과 문제점

  2) 한옥문화 서술과 미학의 관계 

  3) 한옥미학 체계화의 기대효과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선행연구 고찰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흐름 

 

제2장 현대 한옥미학 서술의 분포 

2.1 한옥미학의 구성 

  1) 한옥미학을 구성하는 술어 

  2) 한옥미학에서 가치판단의 사상배경과 건축적 근거 

  3) 한옥미학의 매체 

2.2 현대 한옥미학 서술의 저자와 영역 

  1) 일제시기의 저술 

  2) 미술사학 및 고고학 

  3) 민속학 및 지리학 

  4) 건축사학 및 문화재학 

  5) 건축가와 비평가 

2.3 대중매체 속의 한옥미학 

  1) 잡지 기사 

  2) 신문 기사 

2.4 소결 

 

제3장 현대 한옥미학의 주요개념 

3.1 초기 한옥미학의 어휘와 갈래 

  1) 초기 한옥미학 어휘의 실례 

  2) 초기 한옥미학 어휘의 갈래와 특징 

3.2 현대 한옥미학의 대상과 성격 

  1) 현대한옥미학의 주요대상 

  2) 현대한옥미학 서술의 실례

  3) 현대한옥미학 구성의 성격 

3.3 소결 

 

제4장 현대 한옥미학의 계통 

4.1 현대 한옥미학지도의 작성 

  1) 한옥미학의 도식화 방법론 

  2) 한옥미학 도식의 사례 

  3) 한옥미학지도의 구성 

  4) 한옥미학지도의 활용 

4.2 현대 한옥미학의 계통 분석 

  1) 한옥미학지도의 시안 

  2) 현대 한옥미학 개념 확장의 유형 

  3) 현대 한옥미학 전개의 특징 

4.3 한국 현대건축과 한옥미학 

  1) 건축계에서의 한국성 논의의 특징 

  2) 한옥미학이 적용된 현대건축의 사례 

4.4 소결 

 

제5장 한옥미학의 외연과 참조 

5.1 한국문화 분야에서의 한국미 논의 

  1) 미학 개념어의 번역과 발굴 

  2) 한국 미학의 모색 

  3) 문화예술계에서의 한국미 논의 

5.2 민족건축미학 서술의 해외사례 

  1) 일본건축과 일본성 논의 

  2) 중국건축과 중국성 논의 

  3) 영국건축과 영국성 논의 

5.3 소결 

 

제6장 결론 

6.1 현대한옥미학의 기원과 전개 

6.2 한옥미학 서술의 어휘와 특징 

6.3 한옥미학 서술의 새로운 방향 

 

참고문헌 

Summary 
부록 1. 한옥미학 잡지기사 목록 

부록 2. 한옥미학 신문기사 목록 

부록 3. 한옥미학 어휘 분류 

부록 4. 한옥미학지도 시안  

이강민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