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기본연구보고서 2017-10
- 2017.12.31
- 231페이지
- 조회수 49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건축의 조성과정을 주요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건축계와 비건축계의 입장에서 진행되어온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의 공공건축이 어떻게 만들어져 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공공건축물의 조성과정에 있어서 담론의 형성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의 기본방향과 추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1) 연구 주요내용 3
2) 연구의 방법 3
3) 연구의 범위 5
3. 선행연구 검토 6
1) 선행연구현황 6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7
4. 연구의 흐름 8
제2장 공공건축물 사회적 담론 분석을 위한 연구의 틀
1. 사회적 담론의 개념 9
2. 담론의 장으로서의 매체 14
1) 사회적 담론을 파악하기 위한 매체의 성격 14
2) 매체의 다양성과 최근의 흐름 15
3. 공공건축물과 사회적 담론 17
4. 본 연구에서의 용어 정의 18
제3장 1950년대 이후 공공건축물 담론 기초조사
1. 일간지를 통해 본 공공건축물 담론 19
1) 조사 개요 19
2) 일간지의 공공건축물 주요 담론 23
3) 주요 공공건축물 (담론형 기사 빈도수 기준) 27
2. 건축전문지를 통해 본 공공건축물 담론 30
1) 조사 개요 30
2) 전문지의 공공건축물 주요 담론 31
3) 설계공모 관련 전문지 기사 종합(건축사, 건축가, 건축, 공간지) 32
3. 주요 공공건축물 선정 38
1) 일간지와 전문지 상의 주요 공공건축물 38
2) 주요 공공건축물 종합 40
제4장 주요 공공건축물 조성과정의 사회적 담론 분석
1. 1960년대 : 행정 및 입법시설 42
1) 정부종합청사(정부서울청사) 42
2) 국회의사당 51
2. 1970년대 : 사회 공공서비스 시설 60
1) KBS청사(한국방송공사청사) 60
2) 서울시민회관(세종문화회관) 63
3) 한국증권거래소 67
3. 1980년대 : 대규모 문화시설 70
1) 독립기념관 70
2) 국립대구박물관 75
3) 전쟁기념관 78
4. 1990년대 : 문화, 행정시설 재배치 82
1) 정부 제3청사(정부대전청사) 82
2) 국립중앙박물관 85
5. 2000년대 : 지자체의 본격시행, 균형발전정책 등에 따른 공공건축 다양화 95
1) 백남준미술관(백남준아트센터) 95
2) 국립아시아문화전당 98
3) 한강 예술섬(서울공연예술센터, 노들꿈섬) 104
4) 서울시청사 108
5) 동대문디자인플라자(동대문역사문화공원) 113
6) 전곡선사박물관 117
7) 부산영상센터(두레라움,영화의 전당) 120
8) 정부세종청사(중심행정타운) 124
9) 여수세계박람회장 130
10) 안중근의사기념관 132
11) 경기도청사 135
1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137
6. 소 결 142
1) 시기별 특징 142
2) 조성과정별 특징 143
제5장 결론
1. 주요 공공건축물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담론 흐름 147
1) 건축물 용도별 담론 147
2) 사업추진 주체별 148
3) 시대별 건축담론의 흐름 149
4) 전문집단과 일반사회에서의 건축 150
5) 설계공모제도에 대한 담론, 논의들 151
2. 새로운 담론을 위한 방향 152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53
참고문헌 155
Summary 157
부록1 161
부록2 206
엄운진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