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위드 코로나 시기 생활권 공공시설의 대응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남궁지희 부연구위원 김신성 연구원 변은주 연구원 김영지 연구원
  • 기본연구보고서 2023-18
  • 2023.12.31
  • 211페이지
  • 조회수 7245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권 공공시설의 코로나19 대응과정을 방역과 일상의 균형 관점에서 되돌아보고, 대응체계 재정비 차원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동안 분야별, 시설유형별로 대응과정과 보완방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본 연구는 각 시설의 실질적인 이용 및 영향권에 해당하는 공간적 단위에 주목하여, 인접 시설 간의 상호작용을 아우르는 통합적 관점에서 살펴본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5

  3) 연구의 흐름 6

3.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7


제2장 개념과 쟁점 고찰

1. 위드 코로나 시기와 단계별 대응과정 11

  1) 위드 코로나 개념의 조작적 정의 11

  2) 국내 코로나19 대응과정과 단계별 특성 15

2. 생활권 공공시설의 정의와 유형 21

  1) 생활권 공공시설의 정의 21

  2) 생활권 공공시설의 분류와 유형 33

  3) 중점 분석 대상 시설 38

3. 생활권 공공시설의 대응 전략과 과제 41


제3장 시설 유형별 대응과정 분석

1. 시설별 대응체계 검토 47

2. 시설유형별 특성과 현황 63

3. 시설 유형별 대응과정 분석 73

  1) 교육시설 73

  2) 돌봄시설 81

  3) 문화체육시설 90

  4) 주민공동이용시설 95

4. 시설유형별 대응과정의 시사점 99


제4장 지역 단위 대응 사례 분석

1. 분석의 개요 103

2. 사례지역 현황 분석 105

  1) 일반 현황 105

  2) 공공시설 현황 106

  3) 생활권 단위 시설 분포 현황 114

  4) 단계별 대응 조치와 공백 121

  5) 시설 단위의 공간적 여건 차이 128

3. 시설 운영자 대상 설문조사 133

  1) 조사 개요 133

  2) 조사 결과 135

4. 코로나19 대응실태와 문제점 142


제5장 결론

1. 정책적 개선방안 147

  1) (시설 환경) 필수 취약시설에 대한 안전망과 지원 강화 148

  2) (대응지침) 공간-행태 기반의 보편적 대응과 자율성 강화 151

  3) (대응체계) 지자체 차원의 연계 협력 강화 155

2. 연구결과 종합 158


참고문헌 159

SUMMARY 163

부록 166

1. 감염병 대응 공간계획 사례조사 166

2. 생활권 공공시설의 코로나19 대응 실태 조사(설문) 183

남궁지희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