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기본연구보고서 2022-4
- 2022.10.31
- 231페이지
- 조회수 6456
개인형 공유모빌리티가 퍼스트-라스트마일의 주요 수단으로서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뿐만 아니라 자전거, 보행 등 다양한 수단, 주변 공간과의 연계를 통하여 이용자의 관점에서 단절 없는(seamless) 이동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이동의 전 과정에서 도로환경이나 이용자 간 상충문제에 따른 안전성 강화 방안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형 공유모빌리티의 전체 이동경로 상의 주요 공간을 ① 통행공간과 ② 주차공간으로 구분하여, 각 공간별 쟁점사항을 도출하고 실증분석을 통한공간적·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9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0
1) 연구의 범위 10
2) 연구의 방법 12
3.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14
1) 선행연구 검토 결과 14
2) 본 연구의 차별성 18
제2장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관련 문헌고찰
1.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이용 공간별 주요 쟁점 도출 20
1) 통행공간 : 이동경로(Route/Network) 20
2) 주차공간 : 출발지(Origin) 및 도착지(Destination) 26
2. 국내 법제도 및 정책 분석 30
1)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관련 법제도 30
2)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관련 정책 39
3. 국내외 사례 분석 46
1)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통행공간 쟁점사항 관련 국내외 사례 46
2)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주차공간 쟁점사항 관련 국내외 사례 55
4. 소결 70
제3장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이용 행태특성 분석
1.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수단간 이용현황 비교 분석 74
1) 분석의 개요 74
2)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이용 특성 비교 분석 75
2. 역세권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통행 특성 분석 78
1) 역세권 범위 설정 78
2) 역세권 연계통행 및 비연계통행 비교 80
3.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이용자 인식조사 84
1) 이용자 인식조사 개요 84
2) 이용자 인식조사 결과 86
4. 소결 100
제4장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이용 공간특성 분석
1. 역세권별 이용특성과 유형화 104
1)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이용특성과 지역별 차이 104
2) 역세권 이용행태 군집분석 110
3) 유형별 대표 사례 선정 117
2. 사례지역 이용특성 비교분석 125
1) 분석의 개요 125
2) 사례지역 이용특성 분석 127
3) 이동경로와 경유지점 분석 131
3. 이용 공간 쟁점별 현황 분석 134
1) 통행공간 쟁점 1 : 이동경로의 연속성 134
2) 통행공간 쟁점 2 : 통행공간의 안전성 139
3) 주차공간 쟁점 1 : 대중교통 연계성 142
4) 주차공간 쟁점 2 : 주차공간 접근성 145
4. 소결 : 분석 결과 종합 및 개선방안 154
제5장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이용활성화를 위한 건축·도시공간 개선방안
1.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이용활성화를 위한 건축·도시공간 개선방향 155
2.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이용활성화를 위한 건축·도시공간 개선과제 163
1) 개인형 공유모빌리티가 공존 가능한 도시공간 마련을 위한 개선과제 163
2) 도시교통체계에서 개인형 공유모빌리티의 위상 정립을 위한 개선과제 172
3) 지속가능한 개인형 공유모빌리티 운영·관리를 위한 공공 및 민간 역할 설정 175
4) 개선과제 종합 177
제6장 결론
1. 연구 요약 179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81
1) 연구의 한계 181
2) 향후 과제 182
참고문헌 185
SUMMARY 197
부록. 이용자 인식조사 설문지 201
허재석 연구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