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 AURI-기본-2010-7
- 2010.12.31
- 145페이지
- 조회수 57140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는 단순히 기상재해를 증가시키는 수준을 넘어 세계 경제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온실가스는 이러한 지구 온난화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정부는 공동주택의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된 규제정책 도입 및 기술개발 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009년 말 국토해양부는 주택법에 의한 '친환경 주택의 건설기준 및 성능'을 제정하여 신규 건설되는 공동주택의 경우 기존 주택 대비 10~15%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것을 의무화했으며, 2010년 6월 개정고시를 통해 감축 목표를 15~20% 수준으로 상향조정했다.
공동주택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자재, 열원 설비와 같은 기술 요소가 큰 영향을 미치지만, 개발 밀도나 주거동의 층수, 형태 등과 같은 디자인 요소들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기술 요소들이 공동주택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기술 요소와 디자인 요소의 조합이 어떠한 방식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공동주택 온실가스 감축의 기준이 되는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 및 성능'에 의한 각종 기술 요소의 조합이 개발밀도 및 주거동 층수와 같은 기본적인 디자인 요소와 결합되었을 때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와 비용 등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장 저탄소 공동주택 관련 개념과 정책 동향
1. 온실가스란 무엇이며 왜 줄여야 하는가?
1) 지구온난화와 온실가스
2) 화석연료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 문제
3) 온실가스 감축의 의미
2. 저탄소 공동주택 관련 정책과 제도 현황
1) 국제 기후변화협약
2) 국가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 방향
3) 국내의 공동주택 온실가스 배출 관련 제도
3. 저탄소 공동주택이란 무엇인가?
1) 친환경 개념과 저탄소 개념의 관계
2) 제로에너지 빌딩의 개념
제3장 우리나라 아파트의 온실가스 배출 특성
1. 국가온실가스 배출에서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중
2. 아파트의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 특성
3. 서울시 아파트의 온실가스 배출량 특성 분석
1) 분석 개요 및 자료
2) 분석 변수 선정
3) 분석 결과
4. 소결
제4장 저탄소 계획·설계 요소 도입의 비용효과
1. 공동주택의 온실가스 배출량 결정구조와 감축전략
2. 저탄소 공동주택의 계획·설계 요소
1) 탄소저감을 위한 계획·설계 요소 (1): 에너지 부하 저감 요소
2) 탄소저감을 위한 계획 설계 요소 (2): 고효율 설비 시스템
3) 탄소 회피를 위한 계획 설계 요소
4) 생태녹지 계획과 탄소 흡수 효과
3. 탄소감축 목표 수준별 계획·설계 요소 조합 분석
1) 개관
2) 비용-효과 분석을 위한 기준주택의 설정
3) 저탄소 계획·설계 요소 조합에 의한 공동주택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모형
4) 분석 결과
4. 소결
제5장 결론
1. 정책적 시사점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참고문헌
Summary
부록. 영국의 에코타운 사례연구
조상규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 스마트도시 기술 및 서비스 특성을 고려한 공간계획 방향 연구 연구보고서 2021.12.31 조회수 57732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활권 공원녹지 개선 방안 연구보고서 2021.10.31 조회수 1399
- 보편적 서비스 개념을 고려한 스마트도시계획 및 사업 개편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1.10.31 조회수 889
-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개방형 발코니 조성 방안 auri brief 2021.01.30 조회수 14022
- 2020년 12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6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1.01.01 조회수 11098
-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외부 발코니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2020.12.31 조회수 59658
-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건축행정정보 개방 범위 확대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0.12.31 조회수 1772
- 2020년 11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5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12.01 조회수 12650
- 2020년 10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4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11.01 조회수 10872
- 2020년 9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3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10.01 조회수 7194
- 2020년 8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2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9.01 조회수 906
- 2020년 7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1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8.01 조회수 933
-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공원 및 가로 공간의 설계·관리 방안 auri brief 2020.07.15 조회수 58746
- 2020년 6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60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7.01 조회수 974
- 2020년 5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9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6.01 조회수 969
- 스마트시티 규제 샌드박스 제도에 대한 국민 인식과 정책적 시사점 auri brief 2020.05.30 조회수 57821
- 2020년 4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8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5.01 조회수 955
- 2020년 3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7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4.01 조회수 956
- 빅데이터를 통해 본 세종시 공유자전거 서비스 이용 특성과 개선 방안 auri brief 2020.02.29 조회수 57803
- 2020년 1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5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2.17 조회수 1036
- 2019년 12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4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1.20 조회수 934
- 2019년 11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3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20.01.08 조회수 846
-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도시설계 전략 연구보고서 2019.12.31 조회수 59827
- 2019년 10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2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19.12.02 조회수 928
- 2019년 상반기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49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19.10.18 조회수 744
- 2019년 7·8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0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19.10.18 조회수 719
- 2019년 9월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 51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19.10.18 조회수 884
- 도시재생사업의 주민 참여 활성화를 위한 크라우드소싱 적용 방안 auri brief 2019.07.30 조회수 57647
- 포용도시 구현을 위한 공원서비스 현황 및 개선 방안 auri brief 2019.03.30 조회수 57485
- 포용적 근린재생을 위한 공원 정책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9.01.31 조회수 57771
- 지역건축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매뉴얼 연구보고서 2018.12.31 조회수 57914
- 2018년 하반기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48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18.12.31 조회수 1669
- 크라우드소싱을 활용한 정책사업 모니터링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8.10.31 조회수 57388
- 녹색건축물 채권 도입 및 적용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8.09.07 조회수 57733
- 2018년 상반기 건축도시정책동향(통권47호) 건축도시정책동향 2018.07.27 조회수 1693
- 국가 건축물 에너지·온실가스 정보체계 데이터를 활용한 에너지 소비 지도 개발 결과와 시사점 auri brief 2016.12.30 조회수 3189
- 의료시설의 원내감염 예방 및 대응을 위한 건축적 지원방안 연구 - 외래진료부를 중심으로 - 연구보고서 2016.10.31 조회수 3053
- 국가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의 공공·민간분야 활용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6.10.31 조회수 3523
- 건축서비스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공적개발원조(ODA) 활용 방안 auri brief 2016.04.30 조회수 1315
-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제도 개선 연구 - 건축규제 및 기부채납 기준을 중심으로 - 연구보고서 2016.04.17 조회수 3297
-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의 효과와 개선방안 auri brief 2016.02.29 조회수 1201
- 건축물 옥상공간의 이용활성화 방안 연구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2015.12.18 조회수 2831
- 2014년 법무부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 현황조사 및 모니터링 연구 연구보고서 2015.12.01 조회수 1394
-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한 건축서비스 산업 해외진출 지원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5.10.31 조회수 1380
- 범죄예방 환경조성을 위한 범죄위험평가 도입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5.10.31 조회수 1112
- 지역건축기본계획의 성과와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정책연구 연구보고서 2015.10.31 조회수 1120
- 용도지역제도를 고려한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정책 연구 연구보고서 2014.10.31 조회수 1125
- 녹색건축 통계 및 정보 체계 구축 발전 방향 auri brief 2014.09.15 조회수 1207
- 공공건축물의 에너지성능 제고를 위한 설계 발주제도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2014.08.31 조회수 1096
- 인터넷 사진 정보의 공간계획분야 활용 방안 auri brief 2013.11.22 조회수 882
- 녹색건축 정책수립을 위한 건축물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구축 및 분석 연구보고서 2013.10.31 조회수 1286
- 국가사회적 여건변화에 대응하는 건축정책 발전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3.10.14 조회수 935
- 정부 3.0 시대의 건축행정정보 활용을 위한 정책제안 auri brief 2013.09.09 조회수 744
- 장소중심의 공간계획을 위한 인터넷 사진 정보 활용 방안 연구보고서 2012.12.31 조회수 1045
- 건축행정정보의 정책적 활용 및 건축통계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2.09.28 조회수 957
- 주거지 재생의 공익성 향상을 위한 공공의 역할 auri brief 2012.04.09 조회수 599
- 주거지 재생의 공익성 향상을 위한 공공의 역할 연구보고서 2011.12.31 조회수 1141
- 수변도시 재생에 대응하는 수변경관 조성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1.12.31 조회수 1015
-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U-City 실현방안 연구 auri brief 2011.05.30 조회수 704
- 공동주택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제도개선 방향 auri brief 2011.03.07 조회수 609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