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모델 개발
성은영 부연구위원 윤주선 김용국
  • 기본연구보고서 2018-12
  • 2018.10.31
  • 260페이지
  • 조회수 6148
요약

 본 연구는 그동안 이론적으로만 논의되었던 “줄이는 재생계획”으로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증적 모델로 제시하여 그 실행력을 제고하고자 기획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장동력이 없는 지방중소도시의 쇠퇴 근린을 선정하여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인 “공간의 적정규모화”, “압축도시화”, “기능의 네트워킹” 등의 도시계획적 수단들을 활용하여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수립하고 실현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목차

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6

2. 연구문제 6

3. 연구의 범위 및 연구 방법 7

1) 연구의 범위 7

2) 연구의 방법 7

4. 선행연구의 검토 및 차별성 8

 

2장 스마트축소 도시재생의 개념 및 방법 11

1.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개념의 전개 11

1) 인구 증가 시대와 감소 시대의 도시계획 11

2) “스마트축소 도시재생개념 정립 15

3)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공간관리 계획 및 재생 방식 17

2.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방법 및 전략 20

1) 도시 단위 20

2) 근린 단위 26

3장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축소 현황 29

1. 인구 축소도시의 현황 29

1) 우리나라 인구의 현황과 미래 29

2) 인구 축소도시의 현황 34

3) 지역에 따른 인구 축소도시 : 수도권 도시 vs. 비수도권 도시 35

4) 규모에 따른 인구 축소도시 37

2.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축소 영향 요인 42

1) 분석의 개요 42

2) 축소도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구축 44

3) 축소도시 지표와 근린환경 간의 상관관계 46

4) 근린환경 특성이 축소도시에 미치는 영향 요인 51

3. 지방중소도시의 축소 근린 유형별 특성 65

1) 축소 근린의 유형 분류 65

2) 유형별 특성 분석 65

4장 해외의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관련 계획과 전략 73

1. 입지적정화계획을 통한 집중과 연결 전략(일본) 73

1) 입지적정화계획의 도입 및 전개 73

2) 지방공공단체의 입지적정화계획 작성 사례 82

2. 러스트 벨트의 적정규모화 전략(미국) 93

1) 영스타운(Youngstown, State of Ohio) 93

2) 로체스터(City of Rochester, State of New York) 104

3) 새기노(City of Saginaw, State of Michigan) 112

4) 디트로이트(Detroit, State of Michigan) 119

3.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관련 정책(영국) 126

1) 영국의 인구 동향 126

2) 영국 더럼 주(County Durham)의 탄광마을 축소정책 129

3) 탈산업도시 리버풀의 축소정책 131

4. 소결 135

5장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계획 체계 구상 137

1.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계획수립의 과제 137

2.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가능성 140

1) 김제시(농어촌 근린 유형) 140

2) 태백시(산지형 근린 유형) 166

3) 부산동구(원도심 근린 유형) 192

3.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계획체계 215

1)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계획 가능성 및 한계 215

2) 스마트축소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계획 방향 221

6장 결론 225

참고문헌 231

SUMMARY 241

 

성은영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