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107건
-
농촌지역 돌봄 여건을 고려한 고령자 주거지원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5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1) 연구의 내용과 범위 6 2) 연구의 방법 9 3) 연구 추진 과정 10 3.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1 1) 선행연구 현황 11 2) 연구의 차별성 14 제2장 농촌지역 고령자 돌봄 현황과 이슈 1. 농촌지역 고령자 현황과 돌봄 특성 16 1) 고령자 현황과 돌봄서비스 수요의 특성 16 2) ..
-
영구임대주택 거주 고령자의 지역기반 생활지원 서비스 접근성 제고 방안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 연구 범위 4 2) 연구 방법 6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7 1) 주요 개념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7 2) 본 연구의 차별성 13 4. 연구흐름도 14 제2장 AIP 관점의 영구임대주택 거주 고령자 생활지원 서비스 접근성 제고 개념 및 방향 1. AIP 관점의 고령자 지역기반 생활지원..
-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계획 수립방안 연구(Ⅰ) - 농촌 토지이용 개편 검토기준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1) 연구배경 2 2) 연구목적 4 2. 연구범위 및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및 추진체계 6 3. 선행연구 동향 및 본 연구의 차별성 8 1) 선행연구 동향 8 2) 선행연구 착안점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2 3) 주요용어 설명 13 제2장 농촌 난개발 및 소멸위기 대응 토지이용 관리여건 검토 1. 제도 : 용도지역제에 의한 토지이용 혼재와 부정적 외부효과 22 2. 공간..
-
지방중소도시 재생정책의 현안 진단과 향후 과제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5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1) 연구의 범위 6 2) 연구의 방법 7 3. 선행연구 검토 8 4. 연구추진절차 11 제2장 인구감소시대 지방중소도시 재생여건 변화 및 관점 1. 지방중소도시의 재생여건 변화 14 1) 중소도시 인구감소와 인구규모별 도시쇠퇴 현황 14 2) 인구감소로 인한 중소도시 지역관리 여건 19 2. 지방중소..
-
빅데이터 기반 건축물 산사태 리스크 분석 및 건축물 단위 재난 리스크 간 연계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및 기대효과 7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8 1) 연구의 범위 8 2) 연구의 방법 9 3. 산사태 피해 및 대응 현황 11 1) 국외 산사태 발생 현황 및 대응 사례 11 2) 국내 산사태 발생 현황 및 대응 사례 23 3) 시사점 33 제2장 건축물 재난 리스크 분석 모델 개발 방향 1. 모델 개발 방향 검토 36 1) 건축물 리스크 분석 모델 개념..
정기간행물 68건
-
지자체 개발사업 경관심의 주요 이슈별 개선 방향 - '도시의 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 이 글은 심경미 외. (2023). 개발사업 경관심의 운영현황 및 제도 개선방안.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 및 건축공간연구원 경관센터 내부 자료를 정리하여 작성함 2013년 「경관법」 전부 개정 이후 사회기반시설, 개발사업, 건축물에 대한 경관심의 제도가 도입되었다. 그중 개발사업 경관심의 대상은 26개 관련법에 따른 6개 분야, 총 28개 사업이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심의에 대한 간소화 및 합리화에 대한 개선 요구..
-
영유아 동반가족 전용주차구획 도입과 과제
* 이 글은 조영진 외. (2025). 저출생 시대 영유아 동반가족 전용주차구획 도입 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과제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영유아 동반가족은 유모차, 육아물품 등 때문에 자차 이용이 많으나 주차장에서 주차공간 부족, 협소한 단위주차구획 등으로 불편을 겪고 있다. 이에 정부는 저출생 대책 중 생활밀착형 인센티브의 하나로 영유아 동반가족을 위한 전용주차구획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
-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질의응답 사례를 통해 본 공공건축 사업의 주요 쟁점 및 과제
* 이 글은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자문에 대한 응답 DB 및 ‘공공건축 자문에 대한 응답 사례집 2022-2023’을 바탕으로 작성함 국가지자체 등 공공기관은 공공건축을 조성할 때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등 관련 법령을 준용하여야 한다.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는 2022~2023년 동안 총 1,196건의 공공건축 관련 질의를 받았다. 지방자치단체가 32.3%로 가장 많은 질의를 하였고, 리모델링 관련 질의는 신축보다..
-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 이 글은 백선경 외. (2023). 재난 대응을 위한 임시주거시설 관리체계 개선방안.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재난 시 이재민 등이 일시적으로 대피하거나 거주하는 임시주거시설은 국내 약 1만 5,000여 개가 지정되어 있다. 「재해구호법」에 따라 학교나 마을회관 등의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데, 현재 지정시설 중 약 95% 이상은 공공건축물에 해당한다.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은 단지 수 부족이 ..
-
지자체 경관심의 운영 현황과 개선 제안
* 이 글은 심경미 외. (2023). 개발사업 경관심의 운영현황 및 제도 개선방안.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 및 AURI 경관센터 내부자료를 정리하여 작성함 2013년 「경관법」 전부 개정으로 사회기반시설사업개발사업건축물에 대한 경관심의 제도가 도입된 후, 경관심의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국토경관 관리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제도 운영 10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지자체 경관심의 운영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경관심의..
단행본 1건
세미나·포럼 5건
-
- 행사명 :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AURI 스페셜세션
- 주제 : 미래도시와 스마트시티
- 기간 : 2022-10-21 ~ 2022-10-21
- 장소 : 화상회의(ZOOM)
- □ 행사 개요 행사명 :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AURI 스페셜 세션 일시 : 2022.10.21.(금) 16:00 ~ 18:00 방식 : 화상회의(ZOOM) 접속링크 : https://us06web.zoom.us/j/4482250791?pwd=Uzg2d0FEOW9CcFBCRjBKbkRyZE5IUT09※ 회의 ID : 448 225 0791 / 비밀번호 : 221021 주제 : 미래도시와 스마트시티 주최/주관 : 한국도시설계학회건축공간연구원 □ 프로그램 시간 식순 세부내용 16:00 ~ ..
-
- 행사명 : 2016 보행안전 국제세미나
- 주제 : 걷기 좋고 안전한 보행 도시 만들기
- 기간 : 2016-10-21 ~ 2016-10-21
- 장소 : 정부서울청사 별관 3층 국제회의장
- ❚개요 • 주 제 : 걷기 좋고 안전한 보행 도시 만들기 • 일 시 : 10월 21일(금) 14:00-18:00 • 장 소 : 정부서울청사 별관 3층 국제회의장 • 주 최 : 국민안전처 • 주 관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한국교통연구원, 손해보험협회 ❚발제 및 토론자 □ Session 1 : 보행이 우리에게 주는 혜택 • 주제발표 1. 안전한 보행자, 건강한 도시 Moudon | 워싱턴대학교 교수 ..
-
- 행사명 : '2015 제2회 AURI 건축도시포럼' 개최
- 주제 :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의 현재와 미래
- 기간 : 2015-08-21 ~ 2015-08-21
- 장소 : 페럼타워 3층 페럼홀
- ❚개요 ◦ 행사명 : 2015 제2회 AURI 건축도시포럼 ◦ 주 제 :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의 현재와 미래 ◦ 일 시 : 2015년 8월 21일(금), 14:00~17:00 ◦ 장 소 : 페럼타워 3층 페럼홀 ◦ 주 최주 관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참 석 : 약 80여명(관계 부처지자체 공무원, 건축도시 분야 전문가, 일반 시민 등) ❚프로그램 '2015 제2회 AURI 건축도시포럼' 개최 프로그램에 대한 표입니다. 시간 구분..
-
- 행사명 : 2013 제1회 AURI 건축도시포럼 _마을에서 시작하는 도시공간재창조
- 주제 : 마을에서 시작하는 도시공간재창조
- 기간 : 2013-05-21 ~ 2013-05-21
- 장소 : 명동 포스트타워 대회의실
- ❚2013 제1회 건축도시포럼 개요 • 주 제: 마을에서 시작하는 도시공간재창조 • 일 시: 5월 21일(화) 14:00-17:00 • 장 소: 명동 포스트타워 대회의실 • 주 최: 건축도시공간연구소한국도시설계학회 • 주 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개회 및 축사 • 개 회: 제해성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소장 / 한국도시설계학회 회장 • 축 사: 서병수 새누리당 국회의원 ❚발표 및 토론자 • 기..
-
- 행사명 : 2012 제2차 AURI 국가한옥센터 한옥포럼 _한옥, 도시주거로 작동할 수 있는가?
- 주제 : 한옥, 도시주거로 작동할 수 있는가?
- 기간 : 2012-05-14 ~ 2012-05-14
- 장소 : 서울역사박물관 1층 강당
- ❚2012 auri 국가한옥센터 제2차 한옥포럼 개요 • 주 제 : 한옥, 도시주거로 작동할 수 있는가? • 일 시 : 5월 14일(월) 14:00-18:00 • 장 소 : 서울역사박물관 1층 강당 • 주 관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주 최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한국주거학회 • 후 원 :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국토해양부, 문화체육관광부 ❚발제 및 토론자 • 주제발표1. 근대 한옥의 ..
auri 소식 24건
-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auri brief 287호 발간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건축공간연구원 auri brief 287호 발간 □ 건축공간연구원은 11월 8일, auri brief 287호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를 발간, 재난 발생 시 적합한 임시주거시설을 신속하게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요약문] 재난 시 이재민 등이 일시적으로 대피하거나 거주하는 임시주거시설은 국내..
-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민들의 공간 이용 행태 및 범죄 피해 두려움에 대한 인식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민들의 공간 이용 행태 및 범죄 피해 두려움에 대한 인식 - 건축공간연구원 auri brief 279호 발간 - □ 건축공간연구원은 6월 11일, auri brief 279호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민들의 공간 이용 행태 및 범죄 피해 두려움에 대한 인식’을 발간, 내외국인이 빈번하게 접촉하는 공공 및 가로공간에 대해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원칙을 적용하여 범죄 예방을 강화하고, 주말 시간대 외국인..
-
로컬자원을 통해 지역 특성화 전략 세워야(2023.11.20. 라펜트)
기 사 명 : 로컬자원을 통해 지역 특성화 전략 세워야 주요내용 : 오성훈 선임연구위원,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로컬자원을 활용한 지역 특성화 전략' 세미나 토론 참여 언론사명 : 라펜트 보도일자 : 2023.11.20.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AURI 스페셜세션
□ 행사 개요 행사명 :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AURI 스페셜 세션 일시 : 2022.10.21.(금) 16:00 ~ 18:00 방식 : 화상회의(ZOOM) 접속링크 : https://us06web.zoom.us/j/4482250791?pwd=Uzg2d0FEOW9CcFBCRjBKbkRyZE5IUT09※ 회의 ID : 448 225 0791 / 비밀번호 : 221021 주제 : 미래도시와 스마트시티 주최/주관 : 한국도시설계학회건축공간연구원 □ 프로그램 시간 식순 세부내용 16:00 ~ ..
-
‘베이비부머를 위한 마을과 집을 구상하다’
‘베이비부머를 위한 마을과 집을 구상하다’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건축공간연구원 공동으로 ‘2021 고령친화 커뮤니티 정책포럼’ 개최-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부위원장 서형수)와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은 12월 7일(화) 오후 4시부터 ‘서비스연계주택과 돌봄공동체마을을 통한 고령친화 커뮤니티 조성’을 주제로 ‘2021 고령친화 커뮤니티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