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auri brief
공공건축 수급 현황과 관리 정책 방향
- No.101
- 작성일 2014.11.30
- 조회수 3405
- 임현성 연구원
요약
· 지역별 공공서비스 혜택 격차가 심화되고 시설의 규모 적정성 및 지역 간 형평성 문제가 대두되는 가운데 공공건축물의 누적 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중장기적인 관리 정책의 수립이 요구
· 세움터 정보 등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공공건축물의 설치 현황과 지역 정보와의 교차 분석을 통해 現 수급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공공건축의 수급(supply-demand)관리 방향과 정책을 제시
정책제안
· (‘선(先) 관리 – 후(後) 공급’으로 정책 기조 전환) 공공건축 사업계획에 대한 사전검토(「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타당성 조사(「지방재정법」), 국유재산 관리·처분기준(「국유재산법」) 등을 개정하여 기획단계에서 검토할 수 있는 기능 강화 필요
· (지역별 수급 정책 차별화) 예산 편성 및 청사 수급관리 시 도시화 여부에 따른 3개 지역 유형(도시, 비도시, 도시+비도시)을 기준으로 주요 시설사업 선정, 차등 지원 및 수급 현황 검증이 필요
· (자산수급관리계획 마련) 건축물의 중장기 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한 자산관리전략계획 수립을 위해 ‘공공건축 통합 마스터플랜’을 보완·확대하고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에 근거한 지역 차원의 종합적인 현황정보전수(全數) 조사의 조기 시행이 필요
임현성 연구원의 다른 보고서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