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이용자들은 어떤 건축행정서비스를 필요로 할까?

  • 작성일2018/01/24 13:25
  • 분류통계자료
  • 조회수1363

이용자들은 어떤 건축행정서비스를 필요로 할까에 대한 통계자료로 자세한 내용은 하단 참고

통계자료실 이여경·이상민·차주영(2017),「국민 불편 해소를 위한 건축행정서비스 지원방안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이용자들은 어떤 건축행정서비스를 필요로 할까? 건축도시공간연구소는 건축행정서비스 이용자인 건축사를 대상으로 건축행정에 대한 문제나 불편사항, 개선요구사항 등 인식을 파악하고 향후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7년 5월 22일부터 31일까지 10일간 건축사 또는 건축 관련 민간기업 실무자 7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면접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통계자로실을 통해 조사 및 분석 내용의 일부를 소개한다. Q. 이용자들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축행정서비스는? [이용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축행정서비스 그래프] A. 건축행위 또는 관련 요구에 대한 정보 제공, 인허가 등 규제 실행을 중요하게 생각 1순위 응답을 기준으로 이용자들은 '건축행위 또는 관련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 제공'(51.9%)과 '인허가 등 규제의 실행'(37.7%)을 가장 중요한 건축행정서비스라고 응답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인허가 경험이 있는 건축사의 경우 건축행위 관련 정보 제공을, 인허가 경험이 없는 건축사는 규제의 실행을 더 중요하다고 답하였는데, 인허가 경험자는 사전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사후 규제보다 더 중요하다는 경험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Q. 현행 건축행정서비스의 수준은? [건축행정서비스 유형별 서비스 수준 그래프] [건축행정서비스 속성별 서비스 수준 그래프] A. 전반적으로 보통 또는 낮은 수준이며, '신속성'과 '전문성'이 특히 낮은 편 전반적으로 건축행정서비스에 대해서는 보통 또는 낮은 수준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유형별로는 '규제의 실행'(14.3%)과 '건축행위 관련 정보 제공'(11.7%)이 다른 유형과 비교해서는 수준이 높다는 응답이 많았다. 속성별로는 '신속성'과 '전문성' 측면에서 50%이상의 건축사가 낮은 수준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에 비해 응대 친절성과 '접근 용이성'은 50% 이상이 보통 수준이라고 응답하였다. Q. 개선이 시급한 건축행정서비스는? [개선이 시급한 건축행정서비스 그래프] A. 정보 제공, 규제 실행과 관련된 건축행정서비스의 개선이 가장 시급 이용자들이 건축행정서비스에서 가장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유형은 '건축행위 또는 관련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 제공'(40.3%)과 '규제의 실행'(32.5%)이었다. 이 중에서 인허가 경험이 있는 건축사는 비경험자에 비해 '정보제공'과 '민원대응'에 대한 개선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Q. 건축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제반 여건은? [건축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제반 여건 그래프] A. 절차 개선과 담당 인력의 전문성 제고, 인력 충원이 선행되어야 함 '절차 개선 관련 법제도 정비'(39%)가 우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뒤이어 '충분한 정보 제공'(27.3%), '담당 인력의 전문성 제고'(11.7%)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따. 1~3순위 종합 응답에서는 '전문성 갖춘 인력 충원'(53.2%)이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Q. 건축행정서비스 향상을 위한 지원기관, 조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지원 업무 수행기관 또는 조직 필요 여부 [n=77, 단위=%] *무응답 표시하지 않음 필요하다 : 90.9%, 필요없다 : 9.1% 추가비용 지불 의향 [n=70, 단위=%] 지불의사가 있다: 54.3%, 지불의사가 없다: 45.7% A. 대부분의 응답자가 필요하다고 인식 건축행정서비스 향상을 위해 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또는 조직의 필요 여부에 대해 대부분의 건축사들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응답자의 절반 이상(54.3%)은 이러한 기관이나 조직의 이용에 대한 추가 비용에 대한 지불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823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