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유치원의 통합적인 설계기준 마련을 위한 방향설정연구
조준배 부연구위원 엄운진 심경미
  • AURI-정책-2009-5
  • 2009.12.31
  • 240페이지
  • 조회수 4275
요약 본 연구는 국공립 단설 유치원을 대상으로 현황분석을 통해 유치원 계획 시에 필요한 통합적 설계기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치원 계획시 면적, 안전, 무장애 환경 등 세부적인 항목들에 대한 접근 뿐만 아니라 교육적 측면과 건축적 관점에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1) 연구배경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의 목표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1) 선행연구 현황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연구의 흐름

 

제2장 통합적인 설계기준의 개념
  1. 통합적 설계기준 설정을 위한 여건분석
    1) 유아교육법 제정과 유치원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유치원의 위상변화
    2) 공공건축으로서 유치원과 건축의 공공성을 강조한 건축기본법 제정 
    3) 유치원시설이 지향해야 할 건축디자인 기준 마련
  2. 통합적 설계기준 설정의 필요성
    1) 유치원 설립을 위한 설계 및 시설 기준마련의 시급성
    2) 건축디자인 기준에 기반을 둔 통합적 유치원 설계기준 설정의 필요성 
    3) 통합적 설계기준 설정의 필요성 인식
  3. 통합적 설계기준의 개념 및 의미
    1) 통합의 일반적 개념 : 위계적 통합에서 “네트워크적인 통섭”으로서 통합
    2) 통합적 설계기준의 의미

 

제3장 국내 국공립 단설유치원 현황 및 문제점
  1. 유치원 관련 법령현황
    1) 유치원 법적 정의 및 유아교육 일반사항
    2) 유치원 조성관련
    3) 유치원 계획 및 설계관련
    4) 소결
  2. 단설유치원 일반현황 및 과업지시서 분석
    1) 국·공립 단설유치원 일반현황
    2) 유치원 시설현황 및 설계 일반현황
    3) 시사점
  3. 유치원 현장방문조사
    1) 조사개요
    2) 조사내용
    3) 1차조사 결과
    4) 2차조사 결과
    5) 시사점
  4. 공립 단설유치원 조성과정 현황 및 문제점
    1) 기획단계의 업무내용 및 문제점
    2) 계획 및 설계단계의 업무내용 및 문제점
    3) 유지·관리단계의 업무내용 및 문제점
  5. 소결
    1) 유아교육환경 및 시설에 대한 목표, 방향과 위상설정 필요
    2) 유치원 시설에 대한 요구사항 반영
    3) 설계기준의 서술 및 내용의 구체성 수준에 대한 검토가 필요

 

제4장 국내외 유치원 설계기준 현황
  1. 조사개요
  2. 국내사례
    1) 공고문 및 과업지시서 분석
  3. 영국사례
    1) 개요
    2) Building handbook
    3) 시사점
  4. 일본사례
    1) 개요
    2) 유치원 시설 정비 지침서
    3) 시사점
  5. 미국사례
    1) 개요
    2) Child Care Center Design Guide
    3) LISC(Local Initiatives Support Corporation)
    4) 시사점
  6. 소결
    1) 유치원 설계기준의 위상과 다른 기준과의 연계
    2) 설계기준의 구성체계와 구성방식
    3) 주요고려항목
   
제5장 통합적인 설계기준의 기본방향 제시
  1. 통합적 설계기준 마련을 위한 기준내용의 기본방향
    1) 통합적 설계기준을 위한 내용의 두 가지 방향의 통합
    2) 통합적 설계기준 마련을 위한 기본방향
  2. 통합적 유치원 설계기준의 목표 및 대상과 범위
    1) 통합적 설계기준의 목표와 정의
    2) 통합적 설계기준의 역할
    3) 통합적 유치원 설계기준의 대상과 적용범위
  3. 통합적 유치원 설계기준의 구성체계
    1) 개요
    2) 세부 내용
  4. 유치원 설계기준의 활용 및 실행수단 제시
    1) 법적 체계를 고려한 실행방안 고려
    2) 설계관련 주체들 간의 협력체계 구축 및 디자인관리 체계 구축
    3) 디자인 향상을 위한 교육과 홍보 활성화
    4) 유치원시설에 대한 기준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기구의 설립

 

제6장 결론
  1. 연구결과
  2. 연구의 성과 및 한계

 

참고문헌
부록1. 유치원 설계기준_예시(교실)
부록2. 회의록
부록3. 현황조사 결과
부록4. 설계공모 및 설계지침서 분석

조준배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