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AURI-기본-2011-5
- 2011.12.31
- 383페이지
- 조회수 2761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수변도시재생사례 검토를 통해 수변경관 조성의 현황 및 문제점,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수변도시 재생에 대응하는 수변경관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실제 두개의 사례대상지에 적용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구성 및 흐름
3. 선행연구 검토
1) 선행연구고찰
2) 최근 관련 연구 및 정책 매핑분석
3) 본 연구의 차이점
제2장. 이론적 고찰
1. 수변도시와 수변경관의 정의
1) 수변․수변공간․수변도시의 정의
2) 수변경관의 정의
2. 수변도시재생 및 수변경관 관련 이론
1) 수변도시재생 관련 이론
2) 수변도시경관 관련 이론
3) 수변도시재생과 수변경관조성의 연계방향
3. 수변도시재생 유형
1) 기존 도시구조 활용형
2) 전면재개발형
제3장. 국내 수변도시재생 현황
1. 개요
1) 수변도시재생 사례 선정근거
2) 수변도시재생 대표사례 개요
2. 수변도시재생 유형별 대표사례의 경관 분석
1) 기존 도시구조 활용 사례 A: 서울 합정전략정비구역
2) 기존 도시구조 활용 사례 B: 대전 유성시장 재정비촉진지구
3) 전면재개발 사례 A: 부산 북항재개발지구
4) 전면재개발 사례 B: 서울 개포택지개발지구
3. 소결 및 정책과제 도출
1) 소결
2) 문제점 및 정책과제
제4장. 수변도시 경관조성 사례 및 시사점
1. 개요
1) 수변도시 경관조성 사례 선정배경
2) 수변도시 경관조성 사례 개요
2. 수변도시 경관조성 사례
1) 기존 도시구조 활용 사례 A: 일본 카나자와(Kanazawa)
2) 기존 도시구조 활용 사례 B: 스페인 빌바오(Bilbao)
3) 전면재개발 사례 A: 호주 시드니 달링하버(Darling Harbour)
4) 전면재개발 사례 B: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이스턴도크랜드(Eastern Dockland)
3. 소결 및 시사점
1) 소결
2) 시사점
제5장. 수변도시 녹색재생을 위한 경관조성방안
1. 기본방향
1) 수변도시 재생전략: 녹색수변도시재생경관(GRUWS)
2) 수변경관 디자인 기본방향과 원칙: IDEA 전략
3) 수변도시 재생을 위한 경관디자인 전략: SOFT Design
2. 수변도시재생 유형별 수변경관조성 예시
1) 기존 도시구조 활용형 수변경관조성 예시: 인천 내항지구
2) 전면재개발형 수변경관조성 예시: 인천 한화지구
제6장. 결론
1. 연구요약
1) 수변도시 중심의 정책여건변화
2) 수변도시재생에 대응하는 수변경관 조성방안
2. 정책제안 및 향후과제
1) 수변공간을 포함한 포괄적(Holistic) 도시구조, 토지이용, 환경계획 연계
2) 수변공간의 역사문화자산 및 경관자산 활용전략 수립
3) 수변도시재생에 부합하는 경관계획기준 수립
4) 수변공간 통합영향평가제도 도입
5) 기존 도시구조 활용형 수변도시재생 시범사례 도입
참고문헌
Summary
부록 1. 국내 수변도시재생 사례
1. 기존 도시구조 활용 사례
2. 전면재개발 사례
부록 2. 국외 수변도시재생 경관조성 사례 및 시사점
1. 기존 도시구조 활용 사례: 영국 브리스톨(Bristol)
2. 전면재개발 사례: 네덜란드 이스턴하버(Eastern Harbour)
권영상 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