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AURI-기본-2007-4
- 2007.12.31
- 154페이지
- 조회수 2208
한국적인 도시공간은 어떠한 것인가? 우리는 이 시대, 이 공간에서 공동체적 삶을 영위하고 있다. 하지만 과연 우리의 정체성을 담아낼 수 있는 공간환경에서 살고 있는 것일까? 미래 우리의 삶의 방식은 어떠한 모습이며, 지금까지 이 땅에 있어왔던 삶의 그것과 어떠한 연속선상에서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까? 본 연구는 이러한 우리의 공간환경의 정체성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에서 시작하였다. 이러한 물음은 최근 도시공간에 대한 국제공모과정에서 제기된 몇몇 한국적 도시공간에 대한 담론에서 시작되었다. 그 바탕에는 이 땅에 서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개념으로서의 ‘도시적 한국성(urban Koreaness)’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명쾌한 답변을 찾아내지 못한 문제의식도 한몫을 했다.
최근들어 프랑스, 일본, 미국 등 사회․경제적 기반과 문화적 인프라를 갖춘 선진국에서는 자국만이 가지는 문화적 가치를 더욱 특화시켜서 타국에 비해 비교우위를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도시공간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자국의 공간환경이 가지는 고유한 문화적 가치를 활용하여 국가의 정체성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차별되는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오랜 도시조성 역사가 있고 해방 이후 숱하게 많은 도시를 건설한 경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적 정체성을 구현하는 도시구조나 도시이론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아직까지 도시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축적이나 연구 흐름에 대한 이해와 고찰도 부족한 현실이다.
앞으로 한국의 도시공간에 대한 정체성을 찾고 우리의 공간환경에서의 문화적 가치인식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책연구기관, 관련학회, 전문연구자 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까지 진행된 도시공간에 대한 연구의 전반적인 고찰과 이해가 먼저 필요하며 본 연구도 이러한 필요에 따라 진행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적 도시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정책방향, 계획방향을 제시하는 후속연구들이 진행될 것이다.
I. 서론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범위 5
4. 연구의 방법 6
Ⅱ. 기존이론검토 14
1. 한국적 도시공간에 대한 분야별 논의흐름 14
1) 도시·건축 분야에서의 논의흐름 14
2) 타분야에서의 논의흐름 16
2. 한국적 도시공간에 대한 시기별 논의흐름 18
1) 1960~1970년대 담론 경향 18
2) 1980~1990년대 담론 경향 18
3) 2000년대 이후 담론 경향 23
Ⅲ. 한국의 도시공간 관련 연구현황 조사 26
1. 주제별 연구현황 26
1) 주제별 연구현황의 개요 26
2) 주제별 연구현황 29
2. 분야별 연구현황 39
1) 분야별 연구현황의 개요 39
2) 분야별 연구현황 40
Ⅳ. 분야별 연구동향 및 전망 44
1. 건축학 분야(마을연구 부분) 44
1) 마을연구동향 44
2) 과제와 전망 63
2. 도시학 분야 66
1) 도시공간 연구동향 66
2) 과제와 전망 77
Ⅴ. 결론 및 향후과제 82
1. 결론 82
1) 주요 결론 82
2) 기대효과 및 연구의 한계 83
2. 향후 연구과제 85
참고문헌 88
부록 일본·중국 도시공간 관련 연구현황 96
권영상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