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9건
-
‘지역 Space-MBTI’를 활용한 인구감소지역 특성 진단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선행연구 검토 4 3. 연구의 목적,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목적 5 2) 연구의 범위 6 3) 연구방법 6 4) 연구의 흐름 8 제2장 ‘지역 Space-MBTI’ 진단 준비 1. 인구감소지역 진단체계 9 2. 지역 Space-MBTI 설문지 보완 및 설문 링크 제작 13 1) 설문지 보완의 목적 및 추진 경위 13 2) 보완된 설문지 문항 13 3) 설문지 연결 온라인 링크 제..
-
2019년 보행환경개선지구사업의 성과 및 효과평가 연구 - 행정안전부 및 서울시 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5 3) 연구의 흐름 6 제2장 보행환경개선지구의 개념 및 관련 법제도 분석 1. 보행환경개선지구의 개념 및 유형 8 1) 보행환경개선구의 목적 및 기본 목표 8 2) 보행환경개선지구의 유형 9 2. 보행환경개선지구 관련 법제도 및 사업 시행 절차 10 ..
-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 재생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5 2. 연구범위 및 방법 7 1) 연구대상 및 범위 7 2) 연구방법 14 3. 선행연구검토 및 연구추진절차 17 1) 선행연구검토 및 차별성 17 2) 연구추진절차 20 제2장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개념 및 관련 정책 1. 주거지재생에서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 의미 21 1) 재가복지서비스 기반의 사회서비스 전달체..
-
중소도시 마을연계형 거점공간의 지속가능한 운영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2. 연구방법 및 기존 연구성과 분석 7 1) 연구방법 7 2) 기존 연구성과 분석 및 차별성 8 3) 연구범위 9 제2장 공공 거점공간 관련 정책 및 운영 현황 1. 공공 거점공간 관련 주요정책 11 1) 생활SOC 정책 11 2) 도시재생뉴딜 사업 어울림센터 15 2. 도시재생 사업을 통한 공공 거점공간 조성 및 운영 현황 18 ..
-
읍면동 행정청사 리모델링 가이드라인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범위 및 방법 53. 선행연구 검토 7 제2장 읍면동 행정청사 관련정책 및 운영현황 1. 읍면동 행정청사 관련 지방행정 정책 및 법제도 9 2. 읍면동 행정청사 시설 및 서비스 현황 273. 소결 41 제3장 읍면동 행정청사 리모델링 컨텐츠 조사 1. 조사개요 47 2. 읍면동 행정청사 서비스 설문조사 분석 533. 소결 64 제4장 읍면동 행정청사 리모델링 관련기준 및 추진사례..
정기간행물 14건
-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 이 글은 백선경 외. (2023). 재난 대응을 위한 임시주거시설 관리체계 개선방안.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재난 시 이재민 등이 일시적으로 대피하거나 거주하는 임시주거시설은 국내 약 1만 5,000여 개가 지정되어 있다. 「재해구호법」에 따라 학교나 마을회관 등의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데, 현재 지정시설 중 약 95% 이상은 공공건축물에 해당한다.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은 단지 수 부족이 ..
-
지속 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한 새로운 시도와 과제 -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추진 현황을 중심으로
* 이 글은 서수정 외. (2023). ’23년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모니터링 연구. 해양수산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해양수산부는 지속 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해 2022년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시범사업은 어촌생활권 중심의 생활서비스 전달체계 구축과 어촌경제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시범사업은 지역관리회사 역할을 수행하는 앵커조직이 4년간 현장에 상주하면서 지역사회문제..
-
공공건축물의 조성 업무체계 및 지원관리체계 현황
요약 공공건축물의 질과 국가자산으로서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 공공건축물 조성과정의 이해가 필요함 공공건축물 조성과정은 법적근거를 바탕으로 발주기관의 행정업무체계와 관련기관의 행정업무 관리지원체계로 구성됨 발주기관의 행정업무체계는「건설기술관리법」에 근거하여 크게 계획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유지관리 단계로구분할수있음 - 계획단계의 주요 절차는 기본구상, 청사..
-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구축사업 성과관리체계 구축 방안
요약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생활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사고에 대비하고,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국토해양부,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등 다부처가 참여한 국가 R&D(2009~2013) 사업으로 개발 •2020년 기준 전국 108개 지자체가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구축사업 대상으로 선정되어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를 설치운영 또는 운영 예정으로 지속가능한 사업 추진을 위해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
-
기후위기시대 폭염홍수 복합재해 대응을 위한 탄력적 도시설계 전략
요약 •최근 10년간 대설한파(북극진동영향), 가뭄, 폭염(역대 최고 평균기온), 태풍호우(가을 태풍, 최대 강수 일수 경신) 등 이상기상현상에 따라 피해액과 인명피해가 종합적으로 증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는 극한기후 현상이 증가할수록 지역적 편중 또한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므로 지속가능한 물리적 공간을 가시적으로 구성하는 건축도시 보급을 위한 탄력적 도시설계 정책 필요 •우리나라 중부 광역..
단행본 2건
-
보행자우선도로 매뉴얼 2022
I. 개요 01 배경 및 필요성 02 02 보행자우선도로의 개념 05 03 보행자우선도로의 근거와 절차 08 II. 보행자우선도로의 계획 01 계획의 원칙 16 02 대상지 선정 및 사전조사 17 03 가로유형 분류 19 III. 보행자우선도로의 설계 01 설계 원칙 22 02 노면 디자인 23 03 차량속도 저감시설 26 04 주차 29 05 장애인 안전시설 29 06 조경 및 휴게시설 30 07 안전시설로서의 조명 31 ..
-
2021 한옥 정책ㆍ제도ㆍ사업 안내서
01. 한옥 정책의 현재 9 02. 한옥 관련 법ㆍ제도 및 정책의 체계 1) 한옥의 정의 15 2)「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의 주요내용 20 03. 지방자치단체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조례 1) 한옥 관련 조례 현황 41 2) 광역지방자치단체 한옥관련 조례 47 3) 기초지방자치단체 한옥관련 조례 62 04. 중앙정부 한옥 관련 사업 1. 국토교통부 1) 한옥기술개발 R&D 사업 74 2) 한옥..
세미나·포럼 9건
-
- 행사명 : 제8회 보행안전 국제세미나
- 주제 : 걷기좋고 안전한 보행도시 만들기
- 기간 : 2024-11-11 ~ 2024-11-11
- 장소 : 서울 포스트타워 (명동역, 온라인 동시 생중계)
- • 행 사 명 : 제8회 보행안전 국제세미나 • 주 제 : 걷기좋고 안전한 보행도시 만들기 • 일 시 : 2023.11.11.(월) 13:00 ~ 17:00 • 장 소 : 서울 포스트타워 (명동역, 온라인 동시 생중계) • 주최주관 : (주최) 행정안전부, (주관) 건축공간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손해보험협회 • 진행방식 : 현장, 유튜브를 통한 온라인 생중계 동시 진행 (https://m.y..
-
- 행사명 : 제7회 보행안전 국제세미나
- 주제 : 걷기좋고 안전한 보행도시 만들기
- 기간 : 2023-11-07 ~ 2023-11-07
- 장소 : 서울 포스트타워 10층 대회의실 (온라인 동시 생중계)
- □ 프로그램 session 1 보행자가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제언 주제발표 1 The story of Gent – the shortcut to sustainable mobility Ann Plas│겐트시 도시계획실장 (벨기에) 주제발표 2 일본 요코하마 보행환경 안전정책 KUNIYOSHI Naoyuki│요코하마시립대학교 교수 (일본) 주제발표 3 GGGI sustainable mobility approach for the members 장창선│글로벌녹색성장기구..
-
- 행사명 : 제6회 보행안전 국제세미나
- 주제 : 걷기좋고 안전한 보행도시 만들기
- 기간 : 2022-12-02 ~ 2022-12-02
- 장소 : LW컨벤션 그랜드불룸 및 온라인 동시 생중계(행정안전부)
- □ 프로그램 기조연설 어린아이 시작으로 본 보행안전│국제보행자연맹 회장 기흐트 반 웨그(벨기에) session 1 보행 친화적 도시를 위한 새로운 공간 패러다임 주제발표 1 보행진화적 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 설계 전략│건축공간연구원 보행환경연구센터장 오성훈 주제발표 2 Delivering safer streets│GDCI 프로그램 디렉터 Paul Supawanich(미국) session 2 보행자..
-
- 행사명 : 2021 제2차 AURI 건축도시포럼
- 주제 : 즐겁게 걷고, 함께 쓰는 보행도시
- 기간 : 2021-12-10 ~ 2021-12-10
- 장소 : Youtube 생중계 진행
- □ 개요◦ 행사명 : 2021 제2차 AURI 건축도시포럼 ◦ 일 시 : 2021.12.10.(금) 16:00 ~ 18:00 ◦ 장 소 : Youtube 생중계 진행 (https://www.youtube.com/c/auriTV) ◦ 주 제 : 즐겁게 걷고, 함께 쓰는 보행도시 ◦ 주최주관 : 건축공간연구원, 행정안전부 □ 행사사진 ▷ 관련 보도자료 바로가기 : 즐겁게 걷고, 함께 쓰는 보행도시는 어떤 모습일까?
-
- 행사명 : 2019 보행안전 국제세미나
- 주제 : 걷기 좋고 안전한 보행 도시 만들기
- 기간 : 2019-11-08 ~ 2019-11-08
- 장소 : 부산광역시청 국제회의장
- ❚ 개 요 • 주 제 : 걷기 좋고 안전한 보행 도시 만들기 • 일 시 : 2019년 11월 8일 (금) 13:30 ~ 17:30 • 장 소 : 부산광역시청 국제회의장 • 주 최 : 행정안전부 • 주 관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한국교통연구원, 손해보험협회
auri 소식 32건
-
제8회 보행안전 국제세미나 개최
• 행 사 명 : 제8회 보행안전 국제세미나 • 주 제 : 걷기좋고 안전한 보행도시 만들기 • 일 시 : 2023.11.11.(월) 13:00 ~ 17:00 • 장 소 : 서울 포스트타워 (명동역, 온라인 동시 생중계) • 주최주관 : (주최) 행정안전부, (주관) 건축공간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손해보험협회 • 진행방식 : 현장, 유튜브를 통한 온라인 생중계 동시 진행 (https://m..
-
【해석례로 읽는 건축법 2023】외 4건(2024.9.13.~10.11. 건축사신문)
기 사 명 : 【해석례로 읽는 건축법 2023】 주요내용 : 건축공간연구원 단행본 주요내용 소개 - 일반숙박시설(호텔)의 발코니 확장 여부(부산지방법원) - 발코니 정의 관련(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 5,000㎡ 이상의 운수시설에 해당하나 대합실 등 여객이용시설이 5,000㎡ 미만일 때, 다중이용 건축물인지 여부(행정안전부) - 유원시설로 사용되는 폐철도 위의 관광열차가 '건축법' 적용제외 대상인지 여부(강원도)- 지정..
-
행정안전부, 청년이 제안한 정책, 청년이 검토해 답하다(2024.9.25. 시사일보)
기 사 명 : 행정안전부, 청년이 제안한 정책, 청년이 검토해 답하다 주요내용 : 장민영 연구위원, 인구감소, ‘청년(지역청년)이 제안하고 청년(청년보좌역)’이 답하는 청년문답 토론회 참여 언론사명 : 시사일보 보도일자 : 2024.9.25.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인구감소지역 MBTI는?...지방소멸위기 대응 위한 진단법 나왔다(2024.9.23. 중앙일보 등)
기 사 명 : 인구감소지역 MBTI는?...지방소멸위기 대응 위한 진단법 나왔다 주요내용 : 행정안전부와 건축공간연구원이 수행한 지역 Space MBTI 분석 결과 소개 언론사명 : 중앙일보 등 보도일자 : 2024.9.23.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민들의 공간 이용 행태 및 범죄 피해 두려움에 대한 인식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민들의 공간 이용 행태 및 범죄 피해 두려움에 대한 인식 - 건축공간연구원 auri brief 279호 발간 - □ 건축공간연구원은 6월 11일, auri brief 279호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민들의 공간 이용 행태 및 범죄 피해 두려움에 대한 인식’을 발간, 내외국인이 빈번하게 접촉하는 공공 및 가로공간에 대해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원칙을 적용하여 범죄 예방을 강화하고, 주말 시간대 외국인..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