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4건
-
동네생활권 개념 도입 및 정책적 활용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2. 연구범위 및 방법 6 1) 연구범위 6 2) 연구방법 7 3) 연구 추진절차 9 3. 선행연구 검토 10 1) 선행연구 현황 10 2) 본 연구의 차별성 11 제2장 동네생활권 개념 및 도입 필요성 1. 동네생활권 관련 논의 및 정책동향 15 1) 도시공간의 변화와 동네생활권 개념 논의 15 2) 생활권 관련 이론 및 정책동향 21 ..
-
소규모 주택 건축 활성화를 위한 안심 집짓기 정책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의 범위 6 4. 연구의 방법 7 5. 선행연구의 검토 및 차별성 8 제2장 소규모 주택의 공급 및 수요 동향 1. 소규모 주택의 공급 현황 15 1) 소규모 주택의 재고 및 건축 현황 15 2) 소규모 주택의 주거 환경 18 2. 소규모 주택의 수요 변화 21 1) 소규모 주택 신축 및 리모델링의 다양한 수요 등장 21 2) 손쉽고 간편한 건축프로세스 요구 25 제3장..
-
한스타일 공공건축물 공급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선행연구 검토 1) 한옥 정책관련 연구 2) 공공건축 개선방안 관련 연구 제2장 한스타일 공공건축의 개념과 범주 1. 국가브랜드로서 한스타일의 개념 2. 한스타일 건축의 개념과 범주 1) 한스타일 건축의 정의 2) 기존 한옥 유형분류 기준 검토 3) 한스타일 건축의 유형 분류 기준에 관한 설문조사 4) 한스타일 건축의 ..
-
한옥 정책산업 동향 보고서
Ⅰ. 연구의 개요 = 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의 범위 및 추진 방법 = 5 3. 연구의 주요내용 및 흐름 = 9 Ⅱ. 한옥정책 동향 = 11 제1장 한옥활성화 정책 동향 = 13 1. 한(韓)스타일 육성 종합계획 = 15 2. 제1차 건축정책 기본계획 = 19 3. 국격향상을 위한 신(新)한옥플랜 = 24 4. 한옥관련 연구사업 = 29 1) 한옥기술개발 R&D 사업 = 29 2) 한옥활성화관련 연구사업 = 30 5. 한옥관련법 개정 = 40 6..
정기간행물 8건
-
지속 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한 새로운 시도와 과제 -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추진 현황을 중심으로
* 이 글은 서수정 외. (2023). ’23년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모니터링 연구. 해양수산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해양수산부는 지속 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해 2022년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시범사업은 어촌생활권 중심의 생활서비스 전달체계 구축과 어촌경제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시범사업은 지역관리회사 역할을 수행하는 앵커조직이 4년간 현장에 상주하면서 지역사회문제..
-
한스타일 공공건축물의 유형 및 사례
-
공공시설 내 한국적 실내공간 확산 방안
ㆍ ‘한옥활성화 및 한국적 공간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문화부, 국토부, 2012)’ 및 ‘한국적 생활 문화 공간 조성사업(문화부, 2013)’등을 바탕으로 교육시설, 아동복지시설, 외교시설 등과 관련한 각 부처별 사업들을 우선적으로 연계 및 지원 ㆍ ‘전통문화종합정보(舊 한스타일)’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한국적 공간에 관한 자료, 인문학적 스토리텔링, 우수사례 등을 중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체계적으로 발굴·관리·공유 ..
-
지방이주 청년의 정주지속을 위한 청년활동공간 조성방안
* 이 글은 장민영 외. (2021). 지방이주 청년의 정주지속을 위한 청년활동공간 조성방안 연구.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소멸위기 지방도시에서는 지역의 핵심 인적자본인 청년인구를 유입시키기 위해 앞다투어 청년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청년인구 유입책은 청년들이 살기 좋은 지역을 만드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하며, 청년의 이주와 정착을 위해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이나 지역을 변화시킬 수 있..
-
한옥 정책, 10년을 돌아보다
2007년 '한스타일 육성 종합계획' 이후 본격적인 한옥의 브랜드화 정책이 10년을 맞이했다. 그간 중앙정부 등의 꾸준한 노력과 지자체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진흥사업 추진에 따라 현대한옥의 실체가 가시화되기 시작했고, 특히 2015년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 발효되면서 한옥진흥정책의 철학과 방향이 명시되었다. 이에 맞추어 이번 호 정책이슈에서는 설계시공이론 등 한옥진흥의 현장에서 발생했던 문제점..
세미나·포럼 3건
-
- 행사명 : 2023 auri 주거문화 포럼 : 한일 국제세미나
- 주제 : 우리 시대 집의 의미와 새로운 주거문화의 탐색
- 기간 : 2023-09-21 ~ 2023-09-21
- 장소 : 정동 1928아트센터 2층 이벤트홀
- □ 프로그램 시간 식순 세부내용 12:30~13:00 개회 등록 및 자료 배포 13:00~13:05 개회사- 염철호 l 건축공간연구원 부원장 13:05~13:45 기조강연 내일의 주거 - 지속가능성에 대한 추가적 탐구 -- 타카다 미츠오 l 교토미술공예대학 건축학과 교수 (교토대학 명예교수) 13:45~15:15 발제1 거주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주거문화 정책 과제- 성은영 l 건축공간..
-
- 행사명 : 2015 auri 국가한옥센터 제3차 한옥포럼
- 주제 : 실속있는 한옥 - 한옥, 지어보기
- 기간 : 2015-12-18 ~ 2015-12-18
- 장소 : 명동 포스트타워 10충 대회의실
- ❚개요 • 주 제 : 실속있는 한옥 – 한옥, 지어보기 • 일 시 : 12월 18일(금) 14:00-18:00 • 장 소 : 명동 포스트타워 10층 대회의실 • 주 관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 주 최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 후 원 :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국토교통부, 문화체육관광부 ❚발제 및 토론자 • 주제발표1. 편리함과 경제성을 고려한 한옥 고쳐짓기 ..
-
- 행사명 : 2008 AURI 한옥건축 산업화를 위한 기반구축 연구 심포지엄 _한옥의 현대화와 미래
- 주제 : 한옥의 현대화와 미래
- 기간 : 2008-05-29 ~ 2008-05-29
- 장소 : 서울역사박물관 강당
- □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온영태)는 2008년 5월 29일(목) 오후 2시 서울역사박물관 강당에서, “한옥의 현대화와 미래”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 이번 심포지엄은 건축도시공간연구소와 서울학연구소(소장 송인호)가 국토해양부로부터 의뢰받아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한옥건축 산업화를 위한 기반구축연구’의 일환으로 지난 4월 10일 “한옥건축 진흥을 위한 제도기반구축과 개선 방향”이라는 주제로 ..
auri 소식 9건
-
2023 auri 주거문화 포럼 : 내일의 주거를 생각하다
2023 auri 주거문화 포럼 : 내일의 주거를 생각하다 - 한일간 주거문화의 변화 양상과 새로운 주거문화 탐색 - ◦ (주최) 건축공간연구원 주거문화연구단 ◦ AURI 주거문화연구단은 거주가치와 주거생활공간의 질 제고에 기초한 중장기적 정책 개발지원을 목표로 설립되었습니다. ◦ 오늘날 소형가구의 증가, 인구 감소․고령화 등의 거시적 주거 수요의 변화와 함께, 거주의 형태와 질적 수준에 대한 미시적..
-
내가 낸 아이디어, 건축정책의 미래가 된다
내가 낸 아이디어, 건축정책의 미래가 된다 - 2일부터 건축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동영상포스터에세이 공모 □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국민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건축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제3회 건축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을 6월 2일부터 8월 31일까지 개최한다. * (주최) 국토교통부, 건축공간연구원 (후원) 국가건축정책위원회,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사협회, 한국건축가협회, 한국..
-
'2020 STEPI 국제심포지엄' 개최 안내
stepi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0stepi 국제 심포지엄 stepi international symposium 2020 과학기술혁신정책을 혁신하라:'위드 코로나'와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부응하는 과학기술혁신정책 2020.12.4 실시간 온라인 심포지엄(유튜브 or 페이스북에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을 검색하세요) 모시는 글 코로나 공존 시대와 함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재편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
-
광주광역시 대표도서관 건립 국제건축설계공모 안내
international competition of city main library gwangju 개요 광주대표 도서관: 본 설계 경기는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의 대표도서관 역할을 수행할 공공도서관의 건축계획안을 얻기 위한 현상공모이다. 일정과 참가자격:2019년 11월 25일부터 2020년 2월 5일까지 74일간 진행되며 대한민국과 각국 건축사가 참가할 수 있다. 당선자:1등 당선자에게는 기본 및 실시 설계권(설계비 약 17.3억원) 2등작 5,000만원, 3등 2개작..
-
'4차 산업혁명시대의 공간 재정의-거주공간을 중심으로' 심포지엄 개최 안내
사단 한국여성건축가협회 4차 산업혁명시대의 공간 재정의 거주공간을 중심으로 reside nce 일시 2019.10.18(금) 14:00 ~ 17:00 장소 써밋 갤러리 1층 씨어터 2:00~2:15 축사 _승효상(국가건축정책위원장) 2:15~2:45 4차 산업혁명시대 공간 패러다임의 변화 _김갑성(스마트시티특별위원장,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2:45~3:15 미래 인류의 라이프스타일을 바꾸는 home의 진화_정제호(포스코경영연구원 산업연구센터 / 수..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