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7건
-
경관법 제정 이후 경관정책 추진성과와 개선방향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0 제2장 경관정책 흐름과 시기별 특징 1. 개요 18 2. 정책 형성 단계: 경관법 제정 이전 20 3. 정책 결정 단계: 경관법 제정 및 전부개정 43 4. 정책 집행 단계: 경관법 제개정 이후 52 5. 시기별 경관정책 특성과 변화 62 제3장 국토경관 정책 추진 현황과 성과 진단 1. 개요 72 2. 국토경관 정책 추진 현황..
-
지자체 경관계획 수립 현황과 과제 - 특광역시 중점경관관리구역 계획과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7 2. 연구의 범위 및 주요내용 8 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8 2) 연구의 주요내용 9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0 제2장 경관계획 관련 제도 및 수립 현황 1. 경관계획 관련 제도 현황 14 1) 경관계획 관련 법령 및 지침 14 2) 경관계획 관련 타 법령 18 3) 지방자치단체 경관 조례 20 2. 경관계획 수립 원칙 및 주요..
-
국토경관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경관법」 개정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7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8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10 제2장 경관법에 따른 경관관리 현황과 주요 쟁점 1. 경관법 및 제도 운영 현황 16 1) 경관법 제․개정 현황 16 2) 경관법 관련 지침 현황 20 3) 지자체 경관조례 제정 현황 25 4) 경관관련 조직 구성 현황 27 5) 경관계획 수립 현황 28 6) 경관심의 현황 29 7) ..
-
지역 경관관리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중점경관관리구역 제도 개선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7 2. 연구범위 및 방법, 흐름 8 1) 연구범위 8 2) 연구방법 8 3) 연구흐름 10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1 제2장 지역 경관관리수단으로서 중점경관관리구역의 역할과 과제 1. 지역 경관관리의 현황과 한계 15 2. 중점경관관리구역의 역할과 과제 22 1) 중점경관관리구역의 개념과 가능성 22 2) 중점경관관리구역 관련 유사 법..
-
도시공원 정책 수립을 위한 공원 평가 모델 개발 연구
제1장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 33) 연구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32. 연구범위 / 43. 연구방법 / 54. 선행연구 검토 / 71) 관련 선행연구 현황 / 72) 선행연구의 한계 및 차별성 / 9제2장 국내 도시공원 현황진단 및 평가의 필요성 / 111. 국내 도시공원의 현황과 주요 현안 / 111) 도시공원의 조성현황 / 112) 도시공원 관련 주요 현안 / 142. 관련 여건 분석 / 181) 관련..
정기간행물 7건
-
농촌특화지구의 합리적 지정을 위한 입지적정성 검토기준 활용방안
* 이 글은 여혜진 외. (2023).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계획수립지침 마련 연구: 농촌특화지구 입지적정성 검토방안을 중심으로.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입지적정성 검토기준은 농촌특화지구의 합리적 지정을 통해 생활 및 생산 관련 토지이용을 재배치하여 농촌공간 재구조화 추진 및 농촌 난개발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입지관리 수단이다. 이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의 농촌특화..
-
「경관법」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
* 이 글은 심경미 외. (2022). 경관 계획, 심의 등 지역경관 운영관리 체계 개선 연구.국토교통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2007년에 제정된 「경관법」이 2013년 전면 개정되면서 인구 10만 이상의 도시에 경관계획 수립이 의무화되었고, 경관심의 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동안 경관계획과 경관심의가 본격적으로 운영되어 오면서 경관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제도 개선을 위한 쟁점사항을 도..
-
일본의 경관정책 추진 동향과 국내 시사점
요약 ° 일본의 경관법은 2004년 국토교통성, 농림수산성, 환경성이 공동으로 발의하여 제정하였으며, 부처별로 해당 업무를 수행 ° 국토교통성은 직접 국토경관을 관리하기보다는 지자체가 체계적으로 경관관리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자체의 경관관리를 지원 ° 일본의 경관계획 수립이나 경관관리 주체는 기초지자체로, 지자체의 역량이 부족할 경우에만 광역지자체가 관여하며, 도쿄도(광역지자체..
-
제2차 경관정책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추진 방안
요약 • 경관법 제6조에 근거하여 수립된 제1차 경관정책기본계획(2015~2019)이 종료됨에 따라 제1차 경관정책기본계획의 성과를 평가하고, 새로운 국토 패러다임 등 여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국토경관정책에 대한 중기계획 수립이 필요 • 국토교통부는 앞으로 5년간(2020~2024)의 국토경관 형성보전 및 관리를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 목표와 전략, 이를 실행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담은 ‘제2차 경관정책기본계..
-
일상의 가치를 높이는 건축, 삶이 행복한 도시 - 제3차 건축정책기본계획 수립
제3차 건축정책기본계획은 건축의 공공성 실현을 목적으로 공공건축 혁신, 탄소중립도시 조성, 건축산업 육성 등 주요 현안에 대응하고자, “일상의 가치를 높이는 건축, 삶이 행복한 도시”를 비전으로 설정하였다. 이번 호에서는 제3차 건축정책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함께, 계획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공공건축’, ‘도시건축 통합계획’, ‘탄소중립’, ‘건축산업’의 ..
세미나·포럼 1건
auri 소식 10건
-
전라남도, 경관․옥외광고물 통합 워크숍 개최(2022.12.14. 전남도민신문)
기 사 명 : 전라남도, 경관․옥외광고물 통합 워크숍 개최 주요내용 : 심경미 연구위원, 중점경관관리 구역 제도의 활성화 등 경관정책방향 교육 언론사명 : 전남도민신문 보도일자 : 2022.12.14.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내가 낸 아이디어, 건축정책의 미래가 된다
내가 낸 아이디어, 건축정책의 미래가 된다 - 2일부터 건축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동영상포스터에세이 공모 □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국민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건축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제3회 건축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을 6월 2일부터 8월 31일까지 개최한다. * (주최) 국토교통부, 건축공간연구원 (후원) 국가건축정책위원회,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사협회, 한국건축가협회, 한국..
-
올해의 한옥대상, 자연과 조화롭고 독창적인 '하동 한옥문화관'
국토교통부(장관:노형욱)가 주최하고 건축공간연구원(원장:이영범)이 주관한 2021 대한민국 한옥공모전에서「하동 한옥문화관」이 준공부문 ‘올해의 한옥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아울러, 계획부문에서는 「상상루」가, 사진부문에서는 「소나기와 고택」이, 영상부문은 「한옥으로」가 대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한민국 한옥공모전」은 한옥의 우수성을 발굴하고 한옥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고취하기 위해 2011년부터..
-
‘국토경관 향상을 위한 중점경관관리구역’ 세미나 개최(2021.11.4. 라펜트)
기 사 명 : ‘국토경관 향상을 위한 중점경관관리구역’ 세미나 개최 주요내용 : 심경미 연구위원, '국토경관 향상을 위한 경관법 개정방향'을 주제로 발제 언론사명 : 라펜트 보도일자 : 2021.11.4.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동행사업(동네행복사업)”으로 우리집과 골목길 탈바꿈 시동
“동행사업(동네행복사업)”으로 우리집과 골목길 탈바꿈 시동 - 주택 에너지성능 개선뿐 아니라 마을단위 안전한 주거환경 기대 - 집수리 패키지 지원…21년부터 도시재생 뉴딜사업지로 확대 적용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와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박소현, 이하 ‘AURI’)는 “동행사업*” 시범사업 대상지 6곳을 확정하여 8월 7일 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 (개념) 주택단위의 집수리와 골목길 환경정비를 연..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