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4건
-
한반도 통일시대 기반구축을 위한 건축분야 기초연구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3 1) 연구의 대상 3 2) 연구의 범위 3 3.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4 4. 주요용어 및 개념 5 5. 본 연구에서의 건축 6 1) 경제·산업·기술적 관점에서의 건축 6 2) 사회적 관점에서의 건축 7 3) 문화적 관점에서의 건축 7 6. 연구의 흐름 8 제2장 통일대비 건축분야 추진동향 1. 정책분야 추진동향 9 1) 박근혜 ..
-
공공건축 설계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디자인행정 지원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 및 내용 4. 연구수행 방법 1) 문헌 자료 및 관계 법령 조사분석 2) 전문가 자문회의 5. 선행연구 검토 1) 선행연구 현황 2) 주요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공공건축의 합리적 설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디자인 행정지원 필요성 1. 디자인 행정지원의 의미 1) 정의 및 범위 2) 디자인 행정지원의 업무유형..
-
국내 건축문화의 해외홍보방안 연구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방법 3. 선행 연구 검토 1) 선행 연구 현황 2) 주요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4. 연구 주요내용 1) 연구 내용 Ⅱ. 건축문화의 해외홍보를 위한 국내외 사례분석 1. 국내 사례 1) 국내 사례 분석 개요 2) 정부 부처별 3) 공공기관 4) 민간단체 5) 소결 2. 해외 사례 1) 해외 사례 ..
-
공공건축의 가치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및 추진방안
I. 서론 2 1. 연구배경 및 목적 2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목적 4 2. 기존 연구성과 및 연구범위 6 1) 기존 연구성과 6 2) 연구범위 8 3. 연구내용 및 방법 9 1) 연구내용 9 2) 연구방법 11 3) 연구진행과정 12 Ⅱ. 사회문화적 자산으로서 공공건축 재조명 14 1. 공공성과 공공건축의 개념 14 1) 공공성의 개념 및 범주 14 2) 공공건축의 개념 21 3) 사회문화적 자산으로서 공공건..
정기간행물 2건
-
「경관법」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
* 이 글은 심경미 외. (2022). 경관 계획, 심의 등 지역경관 운영관리 체계 개선 연구.국토교통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2007년에 제정된 「경관법」이 2013년 전면 개정되면서 인구 10만 이상의 도시에 경관계획 수립이 의무화되었고, 경관심의 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동안 경관계획과 경관심의가 본격적으로 운영되어 오면서 경관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제도 개선을 위한 쟁점사항을 도..
-
국내외 건축서비스산업 통계 구축 현황과 활용 사례
* 이 글은 조시은 외. (2023). 건축서비스산업 실태조사 고도화 및 통계 활용방안 연구.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건축서비스산업 실태조사’는 건축서비스산업 분야 최초의 국가승인통계로, 2022년 통계청의 승인을 받은 이후 실태조사가 시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법령에 근거한 건축서비스산업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산업에 대한 일관된 정보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auri 소식 3건
-
'2024년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성과 공유 및 교류 확산을 위한 세미나' 2024 AURI 연구성과 보고회 개최
2024 AURI 연구성과 보고회 개최 - 2024년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성과 공유 및 교류 확산을 위한 세미나 -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박환용, 이하 AURI)은 4월 3일(목) 14시, 건축공간연구원 8층 대회의실에서‘2024 AURI 연구성과 보고회’를 개최한다. ◦ 건축공간연구원(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AURI)은 일상의 가치를 높이는 건축, 삶이 행복해지는 도시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정책수요..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공공건축의 품격 향상과 효율화를 위한 지원 업무 본격화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공공건축의 품격 향상과 효율화를 위한 지원 업무 본격화 -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 개소와 공공건축 국제세미나 개최 - 그동안 공공건축은 호화청사, 낙후된 디자인, 중복 및 과다 조성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기획의 미흡, 행정의 전문성 부족, 가격중심의 설계발주방식, 부실한 디자인관리체계 등이 주요한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건축도시공간연구소는 연구소 창립 초기부터..
-
테스트_auri brief
바이든 시대, 건축도시 부문 그린뉴딜의 전망과 시사점 auri brief No. 200 2022.2.00 지석환 연구원 남성우 부연구위원 이은석 부연구위원 "그린뉴딜 정책을 전면에 내세운 미국 정부의 출범이 한국판 그린뉴딜의 추진에도 일정 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단순한 낙관에 그치지 않고 이를 한국판 그린뉴딜의 성공적인 추진 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대응 방향을 모색하고 실행해야 ..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