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3건
-
공공청사 건축디자인 기준 설정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기존 연구 성과 및 연구범위 1)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 연구범위 3) 연구방법 3. 공공청사의 정의 1) 공공청사의 법적 정의 및 범위 2) 공공청사 관련 법규 4. 공공청사의 현황 1) 중앙정부 청사 현황 2) 지방정부 청사 현황 5. 연구 흐름도 제2장 ..
-
장소의 가치향상을 위한 공공건축 통합화 방안 연구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기존 연구성과 및 연구범위 1)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 연구범위 3.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1) 주요 연구내용 2) 연구추진방법 3) 연구진행과정 Ⅱ. 공공건축 통합화와 장소만들기를 통한 지역활성화 1. 건축기본법 제정 : 여건의 변화 2. 공공건축 통합화 개념 및 의미 1) 통합화의 개념 ..
-
[2008-기본-3-별책1] 영주시 공공건축 통합 계획
머릿말 통합화 프로세스 1. 사전준비 2. 통합계획 3. 실행계획 4. 우선추진 프로젝트 후기
정기간행물 2건
-
마을에서 시작하는 도시재창조의 실현
최근 기존 정비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점진적이고 지속가능한 장소단위의 계획 수립이나 사업 추진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치적으로도 국민행복을 화두로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행복한 삶의 공간을 만들고 가꾸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도시재창조, 마을단위 계획, 마을만들기 등 도시정책 패러다임이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물리적 환경 개선만을 위..
-
재난에 안전한 공간환경
잇따른 지진, 기후변화로 빈번해지는 수해, 잊을 만하면 뉴스를 통해 전해지는 화재와 건축물 붕괴 사고 소식 등으로 국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 과연 우리의 삶터인 건축도시공간이 충분히 안전하게 조성, 관리되고 있는지 다시 묻게 만든다. '안전한 생활공간'은 우리 삶의 질을 논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충족되어야 할 조건이자 필수적인 요소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앞으로 어떤 제도적인 개선과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한지 함께..
auri 소식 1건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