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9건
-
스마트도시 기술 및 서비스 특성을 고려한 공간계획 방향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4 4. 연구의 차별성 6 1) 선행연구 검토 6 2) 본 연구의 차별성 7 제2장 이론 및 문헌 고찰 1. 미래학자들의 도시공간 변화 담론 10 1) 미래학자들이 주목하는 스마트시티 기술 10 2) 글로벌 스마트시티 전문가들이 제안하는 미래도시 변화(Smart City Top Agenda) 12 2. 스마트도시..
-
공동체토지신탁 도입 및 적용 방안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5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0 제2장 공동체토지신탁 개념 및 국내법제도상 적용가능성 13 1. 공동체토지신탁 개념, 특성 13 2. 국내 법제도적 여건 분석 및 공동체토지신탁 적용가능성 18 3. 토의 26 제3장 국외 공동체토지신탁 지원 정책 및 CLT 사례 29 1. 미국의 CLT 지원 정책 및 CLT 운영 사례 29 2. 영국의 공동체토지신탁 관련 제도 및 ..
-
쇠퇴지역 공‧폐가 재생 및 활용 정책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6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1 제2장 국내 공폐가 개념, 실태, 관련 정책 및 사업 현황 1. 공폐가 개념, 실태, 지역 위해 요인 빈집 15 2. 국내 공폐가 재생 관련 법제 및 정책 현황 22 3. 국내 공폐가 재생 관련 사업 현황 31 4. 토의 38 제3장 국외 공폐가 재생 지원 제도 및 정책 추진 사례 1. 영미권의 공가 재생 지원 제도 및 정책 프로그램 41..
-
도시재생사업 청년층 참여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7 3.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8 제2장 도시재생 사업 실행주체의 현황 및 한계 1. 도시재생 특별법상의 사업시행 주체 13 2.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사회적 협동조합의 현황 및 한계 14 3. 도시재생 사업 실행주체로서의 청년 그룹 18 제3장 일본 도시재생 엑셀러레이터 리노베이션 스쿨 1. 일본 리노베이션 스쿨 조사의 필요성 31 2. 리노베이션..
-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6 3. 연구의 범위 8 4. 연구 방법 및 흐름 9 제2장 관련 계획이론 탐색 및 개념 정립 1. 스마트 축소 관련 다양한 논의 11 1) 도시축소(Urban Shrinkage) 12 2) 축소도시(Shrinking Cities) 14 3) 산업유산도시(Legacy Cities) 15 4) 스마트 축소(Shrinking-Smart, Smart Shrinkage) 16 2. 관련 개념들과의 관계 17 1)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전개..
정기간행물 3건
-
지속 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한 새로운 시도와 과제 -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추진 현황을 중심으로
* 이 글은 서수정 외. (2023). ’23년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모니터링 연구. 해양수산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해양수산부는 지속 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해 2022년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시범사업은 어촌생활권 중심의 생활서비스 전달체계 구축과 어촌경제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시범사업은 지역관리회사 역할을 수행하는 앵커조직이 4년간 현장에 상주하면서 지역사회문제..
-
빈집정비계획 수립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
요약 ° 인구 감소 도시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주택 수요 저하로 빈집 증가와 도시문제들이 가시화되고 있으나 개별 정책과 사업으로 대응에는 한계 ° 빈집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계획적인 정비 체계 마련 및 빈집정비사업 실행을 위해 「빈집 및 소규모 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제정시행을 통해 ‘빈집정비계획’ 도입 ° 향후 빈집정비계획 수립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빈집을 체계..
-
로컬 지향의 시대, 어촌으로 가다
이번 호에서는 쇠퇴한 어촌의 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해 온 어촌뉴딜 300사업과 선도사업의 성과, 한계를 짚어보고 어촌의 잠재력을 찾아 떠난 사람들의 새로운 시도를 살펴본다. 또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 국민들이 더 친숙하게 어촌을 만날 수 있도록 로컬 지향의 시대에 맞는 어촌어항 재생의 새로운 정책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정책이슈 : 로컬 지향의 시대, 어촌으로 가다 어촌뉴딜 사업의 성과와 한계..
세미나·포럼 1건
auri 소식 6건
-
건축공간연구원, 제6회 대한민국 범죄예방대상 국무총리 표창 수상
건축공간연구원, 제6회 대한민국 범죄예방대상 국무총리 표창 수상 □ 건축공간연구원이 경찰청과 중앙일보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6회 대한민국 범죄예방대상’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 건축공간연구원은 범죄예방 환경조성을 위해 2012년부터 관련 연구와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으며, 2016년에 ‘범죄예방환경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전문적으로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
AURI 마을재생포럼‘인구감소시대 지방도시의 지속가능한 주거지 재생’개최
"인구가 줄어드는 지방도시, 살기 좋은 주거지 모습은?”AURI 마을재생포럼‘인구감소시대 지방도시의 지속가능한 주거지 재생’개최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박소현, 이하 auri)은 “인구감소시대 지방도시의 지속가능한 주거지재생”을 주제로 6월 11일(금) AURI 마을재생포럼을 개최한다. ◦ auri 마을재생센터는 초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소멸 위기에 직면한 지방도시에서 주민이 체감할 수 있..
-
국내・외 보행안전 전문가 모여 보행사고 줄이기 해결책 모색
국내・외 보행안전 전문가 모여 보행사고 줄이기 해결책 모색 - 미국일본포르투갈 등 전문가 참여, 보행안전 정책 방안 논의 -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박소현)는 12월 12일(수) 행정안전부, 한국교통연구원, 손해보험협회와 함께 정부서울청사 국제회의장에서 “걷기 좋고 안전한 보행도시 만들기”를 주제로 「보행안전 국제세미나」를 개최한다. 금년에 네 번째로 개최되는 「보행안전 국제세미나」는 국내‧..
-
지역사회기반의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도입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는?
지역사회기반의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도입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는? - 건축도시공간硏 2015 제2회 AURI 건축도시포럼 개최, 21일 - 국무조정실 소속 국책연구기관인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제해성, 이하 auri)는 오는 8월 21일(금) 오후 2시, 서울 페럼타워에서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포럼을 개최한다. ① 포럼에서는 일상생활 공간에서 일어나는 범죄를 예방하..
-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제해성 소장을 만나다 1,2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제해성 소장한국건설신문/ 오피니언 인터뷰/ 2013.04.15/ 이오주은 기자 yoje@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제해성 소장을 만나다.경제대통령에 대한 국민들의 후속조치는 ‘국민행복시대’를 슬로건으로 내건 박근혜 정부. 새정부는 ‘세종시’, ‘4대강사업’ 같은 대형 국책사업이 없다. 대신 ‘복지, 안전, 통합’이라는 무형의 가치를 정책목표로 선언했다. 환경과 인프라 관련 정책이 타성을 벗을 때가 온 것..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