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2건
-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모델 개발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6 2. 연구문제 6 3. 연구의 범위 및 연구 방법 7 1) 연구의 범위 7 2) 연구의 방법 7 4. 선행연구의 검토 및 차별성 8 제2장 스마트축소 도시재생의 개념 및 방법 11 1.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개념의 전개 11 1) 인구 증가 시대와 감소 시대의 도시계획 11 2)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개념 정립 15 3)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
-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6 3. 연구의 범위 8 4. 연구 방법 및 흐름 9 제2장 관련 계획이론 탐색 및 개념 정립 1. 스마트 축소 관련 다양한 논의 11 1) 도시축소(Urban Shrinkage) 12 2) 축소도시(Shrinking Cities) 14 3) 산업유산도시(Legacy Cities) 15 4) 스마트 축소(Shrinking-Smart, Smart Shrinkage) 16 2. 관련 개념들과의 관계 17 1)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전개..
정기간행물 1건
auri 소식 2건
-
내 손 안에 펼쳐지는 스마트시티의 모든 것
내 손 안에 펼쳐지는 스마트시티의 모든 것 ◈ 스마트시티 관련 정보를 한 곳에…스마트시티 온라인 허브 플랫폼 구축 ◈ 스마트시티 국내외 사례, 최신 소식, 영문 정보 등 수요자 맞춤형 제공 □ 이제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빠르고 편리하게 살펴볼수 있게 된다. ㅇ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와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박소현)는 정책사업 연구과제(R&D) 등 한국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모든 콘텐츠..
-
테스트_auri brief
바이든 시대, 건축도시 부문 그린뉴딜의 전망과 시사점 auri brief No. 200 2022.2.00 지석환 연구원 남성우 부연구위원 이은석 부연구위원 "그린뉴딜 정책을 전면에 내세운 미국 정부의 출범이 한국판 그린뉴딜의 추진에도 일정 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단순한 낙관에 그치지 않고 이를 한국판 그린뉴딜의 성공적인 추진 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대응 방향을 모색하고 실행해야 ..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