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5건
-
중소도시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2. 연구범위 및 방법 7 1) 연구의 범위 7 2) 지역자원의 개념과 범주 10 3) 연구방법 14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16 4. 연구추진절차 19 제2장 중소도시의 지속가능한 통합적 공간관리 개념과 지역활성화 관련 정책의 한계 1. 중소도시 지속가능한 재생의 의미 21 1) 인구감소로 인한 중소도시의 소멸위기론..
-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을 위한 민관협력방식 활성화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방법 9 3.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114. 연구의 흐름 13 제2장 민관협력형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활성화 필요성 1. 민관협력방식의 개념 15 1) 민관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 PPP)방식의 개념 15 2) 민관협력방식의 도입배경 및 최근의 논의 (영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17 2. 민관협력형..
-
도시재생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연구요약 1. 연구배경 및 목적 ⅰ 2. 도시재생제도의 특성 및 주요내용 ⅱ 3. 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시행에 따른 한계 및 문제점 ⅳ 1) 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추진 배경 및 개요 ⅳ 2) 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추진과정의 한계 및 문제점 ⅵ 4. 도시재생특별법 개선안 ⅷ 1) 도시재생제도 개선안 도출과정 ⅷ 2) 도시재생계획체계 관련제도 개선방안 ⅸ 3) 도시재생 추진체계 관련 제도개선 방안 ⅻ 4) 도시재생 사업시행 관..
-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및 운영 사례 연구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3.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 5 제2장 국내 도시재생 관련 여건 및 현황 / 9 1. 도시재생 관련 법제도 현황 / 9 2. 도시재생 활성화와 지원체계 구축 / 15 제3장 영국 / 17 1. 도시재생 관련 정책 동향 / 172. 도시재생 지원체계 / 20 3. 관련 운영사례 / 44 제4장 일본 / 63 1. 도시재생 정책 동향 / 63 2. 도시재생 지원체계 / 68 3...
-
근린 재생을 위한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4.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근린 재생 자원으로서의 도시 유휴공간 1. 도시 유휴공간에 대한 이론적 검토 1) 도시 유휴공간 개념의 확대 2) 도시 유휴공간의 의미와 가치 2. 국내 도시 유휴공간의 문제와 잠재력 1) 국내 도시 유휴공간의 문제 2) 국내 도시 유휴공간의 잠재력 3. 근린 재생 자원으로..
정기간행물 15건
-
농촌특화지구의 합리적 지정을 위한 입지적정성 검토기준 활용방안
* 이 글은 여혜진 외. (2023).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계획수립지침 마련 연구: 농촌특화지구 입지적정성 검토방안을 중심으로.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입지적정성 검토기준은 농촌특화지구의 합리적 지정을 통해 생활 및 생산 관련 토지이용을 재배치하여 농촌공간 재구조화 추진 및 농촌 난개발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입지관리 수단이다. 이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의 농촌특화..
-
건축ㆍ도시공간의 가치향상을 위한 중소도시의 전략 :공공건축의 통합적 계획
요약 공공건축 통합계획 ㆍ 관리주체별로 공급ㆍ관리되고 있는 공공건축물들을 하나의 통합된 관리대상으로 보고, 각각의 공급ㆍ이용에 관한 결정을 통합ㆍ조정할 수 있는 계획 체제 공공건축 통합계획의 핵심 내용 ㆍ 공공건축 관련 사업의 총괄관리와 정보 공유를 위한 체제의 구축 ㆍ 현 상황에서 실행 가능한 시설 연계이용과 복합화 등을 우선 추진 ㆍ 공공건축물과 그 인접지역의 공간적 통합이나 도시가 보유하..
-
건축협정 제도의 활용 방안
요약 새로운 제도의 도입에 대하여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는 시점에서, 주거지 안정화 및 도시재생 관련 정책 수단으로서 건축협정 제도의 적용 및 활성화 방안 마련 필요 건축협정은 공동주택의 생활규약과 경관협정, 지구단위계획에서 건축지침에 해당하는 주민간 공간 활용 및 행위 규정에 대하여 강력한 약속으로 작동 가능 노후한 주거지를 정비하거나 양호한 주거지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건축협정 제도를 ..
-
도시재생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요약 °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도시재생특별법)」 제정 이후 국비지원사업으로 도시재생선도사업을 시작하여 사업 시행 3년 경과 ° 도시재생선도지역은 한국형 도시재생사업 모델을 제시하고 「도시재생특별법」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사업 시행 전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과 성과평가를 통해 제도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환류 과정으로 진행 ° 지난..
-
쇠퇴지역 빈집 재생 전략 및 추진 방안
요약 ° 전국의 빈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전국 주택 중 빈집의 비율이 6.5%에 달함에 따라 노후 주거지 내 장기 방치 빈집 정비 정책에 대한 요구 증대 ° 이에 따라 빈집 정비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조성되어 왔으며,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이 2017년 2월 제정되어 2018년 2월 시행 예정 ° 빈집 재생 정책으로 단기적으로는 제도 구축 정비 및 시범사업 운영, 빈집 정비계획의 수립을 확산하..
단행본 1건
auri 소식 8건
-
“동행사업(동네행복사업)”으로 우리집과 골목길 탈바꿈 시동
“동행사업(동네행복사업)”으로 우리집과 골목길 탈바꿈 시동 - 주택 에너지성능 개선뿐 아니라 마을단위 안전한 주거환경 기대 - 집수리 패키지 지원…21년부터 도시재생 뉴딜사업지로 확대 적용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와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박소현, 이하 ‘AURI’)는 “동행사업*” 시범사업 대상지 6곳을 확정하여 8월 7일 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 (개념) 주택단위의 집수리와 골목길 환경정비를 연..
-
문화재청-건축도시공간연구소 업무협약 체결
“문화재청-건축도시공간연구소 업무협약 체결” - 건축문화자산의 보존활용 체계 마련을 위한 협약- 문화재청(청장 김종진)과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김대익)는 20일 오후 4시 30분 문화재청 대회의실에서 건축문화자산의 효율적 관리 운영‧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업무협약은 우리나라의 소중한 건축문화자산 현황을 조사‧분석하는 정보체계를 구축하고,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성공적인 추진..
-
건축도시공간연구소-한국해비타트 업무협약 체결
건축도시공간연구소-한국해비타트 업무협약 체결 - 빈집 정비 등 주거복지 사업과 정책 발전을 위한 MOU 체결 -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김대익)와 한국해비타트(대표 송영태)는 2016년 11월 17일 한국해비타트에서 협약식을 갖고, 빈집 정비 등 주거복지 사업과 정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빈집 정비 시범사업의 추진을 위한 지역‧정보의 연계 지원 및 실행 △주거지 재생..
-
건축도시공간연구소-군산시-군산대학 MOU 체결
건축도시공간연구소는 군산시, 군산대학교와 2016년 4월 28일 목요일 전라북도 군산시 고우당에서 지역대학을 연계한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습니다. 각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대학 참여를 통한 성공적인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위하여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고 했으며, ▲도시재생사업 참여 프로그램 개발 지원 ▲참여 학생에 대한 역량강화 지원 등 관련 분야에서 업무 협조를 강화해 나가..
-
건축문화신문 162호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제해성 소장 인터뷰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제해성 소장 인터뷰 건축문화신문 162호(2013년 7월 16일) “국민 삶의 질 개선을 통한 ‘국민행복’이라는 목표에 매진” 지난 2007년 6월 개소한 ‘건축도시공간연구소(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이하 AURI)는 정부 부처, 관련 학회 및 협회의 1여 년에 걸친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으로 탄생한 최초의 건축·도시·공간분야 국책연구기관이다. 최근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 제정과..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