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2건
-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계획 수립방안 연구(Ⅰ) - 농촌 토지이용 개편 검토기준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1) 연구배경 2 2) 연구목적 4 2. 연구범위 및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및 추진체계 6 3. 선행연구 동향 및 본 연구의 차별성 8 1) 선행연구 동향 8 2) 선행연구 착안점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2 3) 주요용어 설명 13 제2장 농촌 난개발 및 소멸위기 대응 토지이용 관리여건 검토 1. 제도 : 용도지역제에 의한 토지이용 혼재와 부정적 외부효과 22 2. 공간..
-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6 3. 연구의 범위 8 4. 연구 방법 및 흐름 9 제2장 관련 계획이론 탐색 및 개념 정립 1. 스마트 축소 관련 다양한 논의 11 1) 도시축소(Urban Shrinkage) 12 2) 축소도시(Shrinking Cities) 14 3) 산업유산도시(Legacy Cities) 15 4) 스마트 축소(Shrinking-Smart, Smart Shrinkage) 16 2. 관련 개념들과의 관계 17 1)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전개..
정기간행물 2건
-
데이터로 본 건축물 재난사고 현황과 대응 방향
사용 중인 건축물에 재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주는 만큼 예방이 중요하다. 하지만 안전 규제가 건축물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일반화하여 도입되는 경향이 있어 실효성에 대한 지적이 있어 왔다. 하나의 대응 방안으로서 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안전 연구의 성과들을 살펴보고,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건축과 공간환경 조성을 위한 과제를 고민해본다. 정책이슈 : 데이터로 본 건축물 재난사고 현황..
-
원격근무 시대의 주거구독 서비스 현황과 전망
원격근무가 확대됨에 따라 본래 사는 곳을 벗어나 지방 등 여러 근무지에서도 거주할 수 있는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주거구독 서비스 시장은 아직까지 여행과 관광 중심의 플랫폼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워케이션 수요를 감안한 서비스로 변화가 요구되며,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업무 인프라 제공에서부터 로컬매니저 지원 등 제도적 지원과 협력을 제공한다면 이를 통해 청년 일자..
세미나·포럼 1건
auri 소식 3건
-
2023 제3차 AURI 건축도시포럼 개최
2023 제3차 AURI 건축도시포럼 개최-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토지이용에서 바라보다 -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에서 주최하는 ‘2023 제3차 AURI 건축도시포럼’이 12월 13일(수) 오후 2시 30분, 서울 정동 1928 아트센터에서 개최된다. ◦ 건축공간연구원은 매년 ‘AURI 건축도시포럼’을 개최하여, 각 계의 전문가들과 건축도시 공간 분야의 지식을 공유하고 정책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담..
-
한국지역학회 특별세션 '농촌지역 소멸 대응' 개최(2023.7.3. C3)
기 사 명 : 한국지역학회 특별세션 '농촌지역 소멸 대응' 개최 주요내용 : 여혜진 연구위원, '농촌공간계획법의 의의 및 농촌특화지구 운용방향' 발제 언론사명 : C3 보도일자 : 2023.7.3.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한국지역학회 특별세션 '농촌지역 소멸 대응 관계인구의 활용과 농촌공간 재구조화 방향' 개최
행사명 : 한국지역학회 특별세션 '농촌지역 소멸 대응 관계인구의 활용과 농촌공간 재구조화 방향' 일 시 : 2023년 7월 7일 (금) 16:05 ~ 17:55 장 소 : 국토연구원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