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정기간행물 3건
-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11년 성과와 향후 과제
2011년부터 매년 한옥 활성화와 홍보를 위하여 국토교통부에서 주최하고 있는 대한민국 한옥공모전이 올해 12년째를 맞이하고 있다. 그동안 국민들이 뜨거운 성원으로 공모전에서는 11년 동안 총 6,223점이라는 방대한 양의 작품을 접수받았고, 계획준공사진영상으로 구분하여 한옥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과 아이디어에 대하여 시상하였다. 공모전의 작품접수 및 시상 경향을 분석한 결과 국가의 건축도시 및 한옥 관련 정책과 ..
-
건축문화기반 도시재생 활성화 전략
최근 우리의 도시는 인구 감소, 산업구조의 급격한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그리고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을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박근혜 정부는 국정과제 중 하나로‘주민참여형 도시재생’을 채택하고, 이의 후속조치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는 등 도시재생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과 국가도시재..
-
범죄로부터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하여
최근 연이어 일어나는 강력범죄와 아동여성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각종 범죄로 인해 시민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막대한 사회적경제적 비용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국민의 안전 확보를 위해 ‘안심하고 양육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국정과제로 수립하였으며,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의 도입을 통해 범죄로부터 안전한 건축도시공간을 조성하는 데 힘쓰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건축과 도..
세미나·포럼 1건
auri 소식 5건
-
2020년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고객만족도 주간사업자 선정 공고
국무조정실 공고 제2020 - 101호 2020년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고객만족도 주간사업자 선정 공고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13조 제2항 내지 제3항에 따라 2020년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고객만족도 주간사업자 선정을 위해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1. 사업개요 ㅇ 사업명 : 2020년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소관 정부출..
-
문재인정부 3주년 국정토론회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위기와 기회」개최
다시 국민과 함께 희망을 INVITATION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위기와 기회 문재인정부 3주년 국정토론회 2020년 5월 7일(목) ~ 8일(금) 유튜브채널 정책기획위원회 정책기획위원회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문재인정부 3주년 국정토론회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위기와 기회 DAY1 day1에 대한 테이블입니다. 시간 구분 주요내용 10:00 ~ 10:30 개회식 개회사, 환영사, 축사 10:40 ~..
-
2019년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고객만족도 주간사업자(조사업체) 선정 공고
2019년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고객만족도 주간사업자(조사업체) 선정 공고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13조 제2항 내지 제3항에 따라 2019년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고객만족도 주간사업자(조사업체) 선정을 위해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1. 사업개요○ 사업명 : 2019년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고객만족도 주간사..
-
2018년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소속 정부출연연구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주간사업자 선정 공고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제13조 제2항 내지 제3항에 따라 2018년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소속 정부출연연구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의 주간사업자 선정을 위해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 다 음 - 1. 사업개요 o 사 업 명: 「2018년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소속 정부출연연구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주간사업자 선정) o 주관기관: 국무조정실 o 사업기간: 2018. 10. ~ 2019. 4. o 사업..
-
“공급중심 주택정책에서 탈피해야 할 때” (손세관 건축도시공간연구소장)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손 세 관 소장 온영란 지난 5월 건축도시공간연구소는 ‘2011 AURI 건축도시포럼-주택정책,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다’를 개최하고 ‘아파트 중심의 주거문화,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서는 그동안의 주택정책은 주택공급, 주택시장 활성화와 안정, 주거복지를 중심으로 진행돼 오면서 주거문화적인 측면은 도외시되고, 오..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