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1건
더보기
제1장 서 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1) 연구의 배경 / 1 2) 연구의 필요성 / 6 2. 연구의 목적 / 7 3. 연구의 전제 및 개념 정립 / 9 1) 공공건축 활용도 제고의 의미 / 9 2) 자산으로서 공공건축 성과 기준 및 진단 지표 / 10 3) 공공건축의 대상 범위 및 유형 / 15 4.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 20 1) 선행연구 현황 및 특징 / 20 2) 본 연구의 차별성 / 235. 연구 추진과정 및 방법 / 25 제..
정기간행물 1건
* 이 글은 심경미 외. (2023). 개발사업 경관심의 운영현황 및 제도 개선방안.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 및 AURI 경관센터 내부자료를 정리하여 작성함 2013년 「경관법」 전부 개정으로 사회기반시설사업개발사업건축물에 대한 경관심의 제도가 도입된 후, 경관심의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국토경관 관리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제도 운영 10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지자체 경관심의 운영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경관심의..
auri 소식 1건
기 사 명 :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공공건물, 청년임대주택으로 大개발 주요내용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연구보고서 「공공건축 활용성 증대를 위한 관리 정책 연구」(2013) 관련 언급 언론사명 : 헤럴드경제 보도일자 : 2017.07.25. 기 자 명 : 정찬수 기자 ▷관련 뉴스 바로가기
AURIC 연구문헌
인기검색어
2025-04-24 ~ 2025-05-01
추천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