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정기간행물 3건
-
건축정책 10년, auri의 노력과 성과
건축도시공간연구소가 설립된 지 10년이 되었다. 그간 건축도시공간연구소는 사회 변화와 요구에 부응하면서 질 높은 연구활동과 사업 추진을 통해 대한민국의 건축과 도시공간의 발전을 견인해왔다. 같은 맥락에서 지난 10여 년 동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의 활동에 대한 평가와 반성을 토대로 앞으로의 발전과 방향을 모색할 이유는 분명하다. 이번 호 특별기획에서는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0년의 주요 성과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앞..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건축도시공간의 미래를 찾다
제4차 산업혁명은 AI, IoT, 빅데이터 등 지능정보기술이 사회 전 분야에 적용되어 경제사회 구조의 근본적 변화를 촉발시키는 기술혁명을 의미한다. 제4차 산업혁명이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공식 의제로 채택되면서 정부에서는 정책 과제로, 학계에서는 연구 주제로 각 분야의 대응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 공간정보라는 점에서, 미래 건축과 도시공간 분야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시..
-
보행친화도시 조성 정책 현황과 과제
걷고 싶은 도시, 활기 있고 건강한 도시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보행자 중심의 공간 조성을 위해 관련 법 개정과 로드맵 수립에 힘쓰고 있는 지금, 정책의 추진 현황과 국내외 사례, 법제도의 개선 방안을 살펴 보행친화도시로 나아가는 올바른 정책방향을 함께 모색해보고자 한다. 정책이슈 : 보행친화도시 조성 정책 현황과 과제 시론 : 걷고 싶은 도시, 건강한 도시를 위하여 _제..
세미나·포럼 1건
auri 소식 6건
-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추계학술대회' 개최 안내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추계학술대회' 개최 안내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대의 글 2020년은 [한국도시설계학회]가 창립된지 2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입니다. 올해 초에 확산되기 시작한 코로나19(covid-19)팬데믹은 도시와 공간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4차산업혁명 기술의 발전과 언택트 사회로의 전환은 도시설계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19의 숲을 헤쳐나가는 이 시점에 한국..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2일 10주년 기념 세미나(2017.12.05. 연합뉴스)
기 사 명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2일 10주년 기념 세미나 주요내용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2월 12일 세종국책연구단지 대강당에서 '대한민국 건축정책 10년'을 주제로 개소 10주년 기념식 및 세미나 개최 언론사명 : 연합뉴스 보도일자 : 2017.12.05. 기 자 명 : 이봉준 기자 ▷관련 기사 바로가기
-
'대한민국 건축정책 10년'을 돌아보다
'대한민국 건축정책 10년'을 돌아보다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개소 10주년 기념행사 및 세미나 개최 -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김대익)는 ‘대한민국 건축정책 10년’을 주제로 개소 10주년 기념식 및 세미나를 12월 12일(화) 세종국책연구단지 대강당에서 개최한다. 건축도시공간연구소는 건축도시공간의 가치를 새롭게 창조하기 위하여 대통령 지시에 의해 설립된 최초의 건축도시 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
건축도시공간硏, 개소 10주년 기념행사·세미나 12월12일 개최(2017.11.13. 건설타임즈)
기 사 명 : 건축도시공간硏, 개소 10주년 기념행사·세미나 12월12일 개최 주요내용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2월 12일 세종국책연구단지 대강당에서 '대한민국 건축정책 10년'을 주제로 개소 10주년 기념 세미나 개최 언론사명 : 건설타임즈 보도일자 : 2017.11.13. 기 자 명 : 이자용 기자 ▷관련 기사 바로가기
-
(사) KAI 새건축사협의회 10주년 기념식 안내
(사) 새건축사협의회 10주년 기념식 안내 (4기 출범) 일시 : 2014년 11월 26일(수요일), 오후 7시 장소 : 서울 명동성당 내 K'ARTS 명동 스튜디오 내용 : 10주년 기념식, 기획 전시(젊은건축가상, 해외전시 등) 여러분을 새건축사협의회 제4기 출범식에 초대합니다. 새건축사협의회가 창립한지 올해로 10년이 되었습니다. 지난 10년을 되돌아보면 새건협은 건축계의 여러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