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영상 부연구위원 엄운진
  • AURI-기본-2008-2
  • 2008.12.31
  • 226페이지
  • 조회수 2201
요약 한국은 해방이후 최근까지 경제성장 및 국가개발에 대한 요구가 모든 정책과정에 있어서 최우선과제였고, 이에 따라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정부가 주도하는 공간정책은 경제성장에 적합한 구조로의 도시 및 국토환경 재편을 목표로 추진되었고 그 결과 급속한 도시화, 양적인 팽창, 주거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기존도시에서부터 신도시에 이르기까지 많은 도시설계 경험이 축적되었다. 한편, 최근 도시 여건변화와 함께 새로운 도시적 담론이 진행되고 있고 질적 가치향상에 대한 고민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공간구조, 이미지, 생성원리에 대한 고찰 없이 일방적으로 조성되어온 도시공간의 양적성장에 대한 반성과 한국도시의 정체성 모색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과연 한국적 도시공간이 무엇이며, 한국의 도시가 가지고 있는 정체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바로 그것인데, 세계 10위권의 경제규모를 가지고 있는 국가로서 공간환경에 대한 문화적 수준에 대해 고민하게 되는 부분이며 앞으로 한국에서의 도시설계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한국의 도시에 적합한 도시설계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것은 지금까지 한국에서 있어왔던 도시적 논의와 지식체계를 포용하면서 또한 그것이 한국적 도시상황에 적합하고 앞으로 한국의 도시공간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줘야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해 이론고찰과 실제 도시공간의 분석, 전문가 자문 및 인터뷰, 그리고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며 해외에서의 도시설계 패러다임 사례를 검토한다.
전체 연구는 1) 한국의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경제적·문화적 여건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2) 해방 이후 한국에서 진행된 도시설계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사회적·경제적 배경과 그 결과로 나타나는 도시설계의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3) 이러한 한국도시의 상황적 여건과 지금까지의 도시설계 특성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한국적 상황에서 도시설계 패러다임을 모색한다.
목차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흐름

 

Ⅱ. 관련이론 검토
1. 도시설계분야의 주요패러다임 변화
  1) 도시설계 분야에서 패러다임에 관한 논의
  2) 도시설계 분야에서 주요 패러다임의 변화
2. 도시설계에 있어서 한국적인 것에 관한 논의
  1) 한국적인 것에 관한 논의
  2) 도시설계에 있어서 한국적인 것에 대한 논의의 규정

 

Ⅲ. 한국 도시공간의 현황
1. 한국 도시의 여건변화
  1) 도시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변화
  2) 지방자치에 따른 도시 만들기 확산
  3) 도심부 쇠퇴 및 인구저성장 진행
  4) 탈집중화 시대의 공간 양극화
2. 한국 도시의 최근 이슈
  1) 지속가능한 가치체계의 등장
  2) 전문가의 협업 및 통합화 확산
  3) 상향식 계획방식의 등장
  4) 모더니즘 도시설계에 대한 반성
3. 소결

 

Ⅳ. 한국 도시설계의 특성
1. 기존도시 도시설계의 특성
  1) 기존도시 설계의 경향
  2) 기존도시 도시설계의 특성
2. 신도시 도시설계의 특성
  1) 신도시 도시설계의 경향
  2) 60-70년대 신도시 도시설계의 사례 : 창원시
  3) 80년대 신도시 도시설계의 특성 사례 : 분당신도시
  4) 2000년대 신도시 도시설계의 특성 사례 : 행복도시
3. 소결

 

Ⅴ.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
1. 내용적 측면
  1) (고유한 도시적) 장소성에 대한 회복
  2) 사회적 변화에 대한 대응
  3) 탈근대적 시대정신에 대한 수용
2. 형식적 측면
  1) (시민참여에 의한) 커뮤니티의 복원
  2) (지자체 주도에 의한) 지역별 정체성 회복
  3) 전문분야간의 소통과 유연한 계획체계
3. 소결

 

Ⅵ. 결 론
1. 한국적 도시설계 패러다임의 의의
2. 향후 연구 및 정책추진 방향
  1)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2) 정책제언

권영상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